닫기
18.97.14.86
18.97.14.86
close menu
Accredited
국가 정체성 인식과 전통적 가치 지향, 그 현대적 계승
National Identity, Traditional Value Orientation, and Modern Succession
이상호 ( Sang Ho Lee ) , 박동준 ( Dong Jun Park ) , 박균열 ( Gyun Yeol Park )
倫理硏究 vol. 106 129-158(30pages)
UCI I410-ECN-0102-2016-190-000688028

본 조사는 한국의 전통적 가치가 현대 한국의 시민의식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검토한다. 한국인으로서 갖는 정체성은 이러한 전통적 가치의 영향과 별개로 존재할 수 없다. 이 조사는 2013년 실태조사에 이어 2015년에도 실시되었다. 2015년 실태조사에서 한국의 전통가치가 우리 사회의 발전에 있어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2013년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정신문화의 자산에서 충효정신, 생명존중정신, 경로정신이 높게 나타났고, 전통생활에서 문화자산은 한글, 한식, 한옥, 아리랑, 팔만대장경이 중요한 자산으로 나타났다. 전통의 인물로는 세종대왕, 충무공 이순신, 백범 김구, 광개토대왕의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2013년에 비해 2015년 조사에서 팔만대장경은 종교와 관계없이 높은 지지를 받았고,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선호도가 상승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values in contemporary civic value consciousness of Korean society. The national identity of Korea has been related to the influence of Korean traditional values. This is based on the results of AKS survey in 2013 and in 2015.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values to develop Korean society has slightly increased in 2015. There are values that have highly been appreciated: filial piety, life respect, respect for the elderly in the area of spiritual culture; Hangul, Hansik, Hanok, Arirang, the Tripitaka Koreana in that of living culture; King Sejong, General Lee, Sun-Shin, Kim, Gu, King Gwanggaeto in that of great men of Korean history. The Tripitaka Koreana has been important irregardless of the factor of religion and the influence of General Lee, Sun-Shin hae been the biggest increase of all the great men since 2013.

Ⅰ. 머리말
Ⅱ. 연구방법
Ⅲ. 주요 조사 결과
Ⅵ. 논의 및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