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즈의 칸트적 구성주의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도덕적 사실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가치의 객관성을 주장하는 기획이라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본고에서는 롤즈 이후의 칸트주의자들이 제시하는 구성주의 이론들을 살펴보면서 윤리이론으로서의 칸트적 구성주의의 적절한 형태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힐, 오닐, 코스가드가 제시하는 구성주의 이론들의 구조와 특징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이러한 파악을 통해 드러난 세 형태의 구성주의 이론들을 비교, 검토하면서 어떤자원을 가지고 어떤 절차를 거칠 때 객관적인 도덕원칙을 끌어낼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나아가서 가치의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할 때 칸트적 구성주의가 도덕적사실의 존재와 관련하여 어떤 입장을 취하는 것이 적절한지 고찰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칸트적 구성주의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안하고자한다.
Rawls` Kantian constructivism ha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in that it is a project to seek for the objectivity of value without depending upon the existence of moral fa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antian constructivist positions after Rawls and then find an appropriate form of Kantian constructivism. First of all, I shall figure out th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antian constructivist theories presented by Thomas E. Hill Jr., Onora O`Neill, and Christine M. Korsgaard. Comparing these three theories, I shall examine what are the materials and procedure of Kantian constructivism appropriate for specifying the objective moral principles and what is its proper position on the ontological commitments. This examination is expected to show both the direction of Kantian constructivism to be taken and its problems to be sol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