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는 섬과 바다로 열려있는 해항도시이며, 1897년 ``개항``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통해 급격한 도시화가 이루어진 지역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 글은 1920년대 목포의 사회경제적 배경을 바탕으로 청년운동 전개과정과 지역엘리트의 성격을 분석한 것이다. 1920년대 목포는 물산공진회를 개최하는 등 전남의 대표도시로 성장했다. 그러나 일본인과의 차별이 심했고, 식민지 수탈항 성격이 강했다. 그 가운데 부협의회에 진출하는 조선인 수가 늘어나고, 노동파업이 본격화 되는 등 여러 가지 사회적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 진행된 목포청년운동의 전개과정은 크게 6단계로 구분되었다. 1단계, 1920년대 초에는 지역 명망가들을 얼굴로 내세운 채 출발했다. 2단계, 지역의 신진사업가들이 표면에 등장하였다. 3단계, 회장제에서 이사제로 변경되고, 청년회 임원들의 부협의회 진출이 이루어졌다. 4단계, 사회주의 성향의 청년운동이 대두하였다. 5단계, 목포청년회와 무산청년회가 병존하여 지역 관심사에 공동 대응하는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6단계, 목포청년회는 해체되고, 신간회 중심의 민족사회운동 전개로 변화한다. 또한 이 시기 목포지역엘리트의 면모에는 다섯 가지 특징이 나타난다. 첫째, 퇴직 공무원들이 지역엘리트로 자리 잡는 현상이다. 둘째, 신진 상업인들이 중심세력을 이뤘다. 셋째, 경상도 출신자들이 많았다. 넷째, 1919년 만세운동 관련자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다섯째, 목포 인근 섬 출신 인물들이 많았다. 이러한 특징에는 개항을 계기로 도시화 된 목포의 지역성이 반영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youth move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elite based on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in the 1920`s Mokpo. During the 1920`s, Mokpo grew as a representative city of Jeonnam holding Mulsangongjinhoe[an agricultural fair] or such. However, the port was notorious for colonial exploitation, and discrimination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still existed. In the meantime,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society as Chosun people entering Buhyeopuihoe[a provincial assembly] were increasing, and labor started to go on strike genuinely. The 1920`s Mokpo youth movement developed in this background can be divided largely into six steps. In Step 1, during the early 1920`s, it began with the men of repute in the region. In Step 2, the businesspersons of the region appeared on the surface practically. In Step 3, it changed from the presidential system to the director system, and the executives from the youth group joined in Buhyeopuihoe. In Step 4, after Musancheongnyeonhoe[Propertylessyouth association] was organized, socialistic youth movement began. In Step 5, as Mokpocheongnyeonhoe[Mokpo-youth association] and Musancheongnyeonhoe coexisted, they coped with the issues of the region collaboratively. In Step 6, Mokpocheongnyeonhoe was disorganized, and it changed to ethnic social movement centered around Singanhoe[新幹會]. In this period, the elite in Mokpo have five characteristics. First, retired public officers became the elite of the region. Second, the newly rising businesspersons formed the main force. Third, many people were from Gyeongsang-do. Fourth, those involved in 1919 Manse Movement were in full activity. Fifth, there were a lot of people from the islands adjacent to Mokp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