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29.250.65
3.129.250.65
close menu
}
KCI 등재
한국 학교기반 청소년 음주예방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The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Alcohol Pre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in Korea: A Meta-Analysis
조혜정 ( Hye Chung Cho ) , 황성동 ( Sung Dong Hwang )
청소년학연구 23권 3호 523-547(25pages)
DOI 10.21509/KJYS.2016.03.23.3.523
UCI I410-ECN-0102-2016-330-000697556

본 연구는 한국의 학교기반 청소년 음주예방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Reviews and Meta-Analysis) 가이드라인에 따라 2015년 6월까지 출판된 연구물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각 기준에 따라 선별한 결과 총 12편이 메타분석 대상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CMA 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평균효과크기, 조절효과, 출판오류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 첫째, 학교기반 음주예방프로그램의 효과를 보고한 주요 변인에서 음주지식(g=1.004), 음주태도(g=-.777),음주거절자기효능감(g=.592) 순으로 효과크기를 보였고, 모두 중간크기 이상의효과크기를 보였다. 즉 학교기반 음주예방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음주지식, 음주태도, 음주거절자기효능감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음주지식이 프로그램 내용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음주지식에 대한 정보전달과 함께 사회적 영향을 함께 다룬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보다 효과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기반 음주예방프로그램에서 사회적 영향모델에 따른 접근과 실천현장에서의 근거기반실천 강화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alcohol pre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in Korea using meta-analysis. Based on the guidelines of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MSA), a systematic search was undertaken for studies published up to June 2015, and a total of 12 studi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clusion criteria.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version 2.0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effect sizes, moderator analysis, and publication bias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Effect sizes of school-based alcohol prevention programs ranged from medium to large; drinking knowledge (g=1.004), drinking attitudes (g=-.777),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g=.592). A moderator analysis showed that drinking knowledg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ogram content. The most effective approach to the improvement of drinking knowledge was in providing both drinking knowledge and skills to resist social influences in alcohol use.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evidence-based practice, and approaches to dealing with social influences for the enhancement of school-based alcohol prevention program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