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2
18.97.9.172
close menu
Accredited
사회정서학습(SEL)의 교육적 의의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ocial Emotional Learning(SEL)
우채영 ( Chae Young Woo )
DOI 10.21509/KJYS.2016.03.23.3.163
UCI I410-ECN-0102-2016-330-000697405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청소년의 학교부적응, 자살,학교폭력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성교육차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미국의 사회정서학습(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에 대해 고찰하고, 교육적의의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회정서학습의 운영을 관리하고 있는 CASEL 홈페이지의 내용을 활용하였고,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교실에서 실시하는 SEL은 미국 연방정부의 『학업적, 사회적, 감성적 능력함양을 위한 학습법(ASELA)』에 제정된 것으로 아동.청소년의 사회적.정서적 능력과 관련되는 지식과 태도,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이다. 이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하여 모든 형태의 학교에서 운영하기를 기대하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이다. SEL에서 다루는 핵심영역은 청소년의 발달과업이기도 하며, 학교생활뿐 아니라 사회생활에서 꼭 필요한 개인의 능력이다. SEL의 실행결과는 학생들의 학교생활과 학업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이러한 측면에서 SEL은 부모, 학교, 사회의 협력을 통해 학업에서 다루게 될 사회적, 정서적 학습으로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concepts of the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with the aim of improving both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mental health and to determine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SEL and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d the CASEL website and reviewed the prior literature on SEL. The findings revealed that classroom practice in SEL was established following 2011 United States federal government policy [Academic,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Act (ASELA)] and that SEL consists of an acquisition process encompassing knowledge, attitude, and skills related to adolescents’ social and emotional abilities. Further, the findings suggest that SEL could help to address the urgent contemporary problems of high rates of youth suicide, school violence, and school maladjustment. The five core competencies of SEL would not only benefit adolescents within their school life, but could also lead to important gains in an overall healthy socialization. SEL leads to important gains i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represents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collaboration between parents, schools and communities in the emotional learning process of adolescen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