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68
18.97.9.168
close menu
Accredited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 및 지원 방안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 interventions for school dropouts
최지연 ( Ji Yeon Choi ) , 김현철 ( Hyun Chul Kim )
DOI 10.21509/KJYS.2016.03.23.3.103
UCI I410-ECN-0102-2016-330-000697389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을 파악하고 적절한 지원방안을 모색하여 학업중단 청소년이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학업중단 청소년 20명을 대상으로 시간적 순서에 따라 학업중단 이전, 학업중단 시기, 학업중단 이후 경험을 심층면접법을 통해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내용분석방법을 통해 심층면접 자료를 분석한 결과, 4개의 주제, 10개의 세부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업중단 이전부터 학업중단 청소년들이 처한 가정 및 경제적 환경, 부모의 지지, 학교생활, 학업에 대한 태도 등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둘째, 학업중단을 결정함에 있어서 신중한 결정과정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학교 및 기관의 적절한 정보 제공 및 지원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셋째, 학업중단 이후 학업중단 청소년들은 뚜렷한 목표의식이 없는 한 의미 있는 생활을 유지하기가 힘들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또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공존했으며, 도움 및 지원에 대한 의지는 있으나 정보 및 자원 부족으로 별다른 혜택을 못 받고 있다고 답변했다. 넷째, 학업중단 이후 학업중단 청소년들이 심리적으로 가장 힘들어 하는 점은 그들을 바라보는 사회의 시선과 인식이었다. 따라서 사회의 구성원으로 편견 없이 그들을 대하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업중단 청소년들에 대한 정부차원의 관심과 대책이 필요하며, 학교 및 지역사회의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지원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특성을 학업중단 이전 시기부터 학업중단이후까지 시간적 순서에 따라 단계별로 탐색함으로써, 그들의 특성과 욕구를 다양한 측면에서 이해하려고 했고, 그에 따른 세부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and proper supportive plans of school dropouts and to support their quality of life improve. For this purpose, 20 school dropouts were conducted with in- depth interviews regarding their life experience in a deprived environment before, during and after school dropping out. The content analyses of the interview data resulted in four categories and ten subcategories with chronological ord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to understand school dropout’s life experience before they dropping out from the various perspectives. Second, before school dropouts quitting school, we need to support them to decide carefully with a proper information. Third, after school dropping out, school dropouts felt anxiety of future, and expected to be supplied with a proper information and resources. But most of them thought not to get abundant benefit. Fourth, school dropouts have a difficulty time from social prejudices. Therefore, the realistic and substantial plans need to be provided for school dropou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