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3
18.97.9.173
close menu
Accredited
강점인식이 심리적 안녕감과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강점활용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trengths Use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of Strengths Knowledg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areer Adaptability
조남근 ( Nam Keun Cho ) , 권정희 ( Jeong Hee Kwon ) , 정미예 ( Mee Ye Jung )
DOI 10.21509/KJYS.2016.03.23.3.1
UCI I410-ECN-0102-2016-330-000697349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강점인식이 심리적 안녕감과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강점활용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86명을 대상으로 강점인식, 강점활용,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진로적응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각 변인간의 관계와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점인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강점활용과 자기효능감이 이중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강점인식은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강점활용과 자기효능감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강점인식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강점활용과 자기효능감이 이중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강점인식은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강점활용과 자기효능감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영향을 미쳤다. 즉, 강점인식의 심리적 안녕감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강점활용 및 자기효능감의 이중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강점인식이 심리적 안녕감과 진로적응성에 이르는 심리적 경로를 확인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주요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ngths use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of strengths knowledg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areer adaptability. A sample of 486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completed the Strengths Knowledge Scale, Korean version of Strengths Use Scale(K-SUS), Self-efficacy ,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and Career Adapt-Ability Scale(CAAS). This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of study question established.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strengths use and self-efficacy partially dua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s knowled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trengths knowledge had a 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by strengths use and self-efficacy in regular sequence. Second, strengths use and self-efficacy partially dua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s knowledge and career adaptability. Strengths knowledge had a direct effects on career adaptability, also by strengths use and self-efficacy in regular sequence. The currant study contributed to examine psychological path of strengths knowledg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areer adaptability. Limitations of the curra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