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52.14.144.75
52.14.144.75
close menu
}
KCI 등재
한,중 6.25전쟁 전선소설에 드러난 “애정(愛情)의 정치적 서사” 비교연구
The comparison study on the “political narration of love” in Korea and China`s Korea war novel
티엔즈윈 ( Zhiyun Tian )
어문론총 66권 323-346(24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697088

한국전쟁은 당시 한중 양국의 문단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즉, 한국에서 종군작가단의 결성과 중국의 ``입조``(북한에 들어감) 작가단의 형성이 바로 그 결과물이다. 양국의 종군작가단은 전쟁의 승리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키는 도구로서 큰 힘을 발휘하였다. 이른바 전쟁기의 문학은 강한 정치성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선소설에서 인간의 욕망을 대표하는 애정이라는 감정이 정치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살펴보고 전선소설 속에 있는 문학의 자율성을 탐지하는 것이본 논문의 목적이다. 본고에서 소개한 애정과 정치의 관계는 주로 ``개인적 애정과 조국애의 양보`` 관계와 ``개인적 애정과 조국애의 합일적 관계``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해당 작품으로는 정비석의 「간호장교」와 양삭(楊朔)의 「삼천리강산」(三千里 江山)이 전자에 속하며 박영준의 「빨치산」과 노령(路翎)의 「저지대에서의 전투」(窪地上的戰役)가 후자에 속한다. 문학은 시대의 특수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다. 그러나 문학이 무조건 정치에만 부합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정치상의 목적을 두고 있으면서도 다양한 서사수법을 사용한다는 점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지점에서 문학의 자율성 탐구가 요청된다. 아울러, 이 글에서 애정의 서사를 논의함을 통해 한중양국이 서로에 대한 인식의 고정관념을 깨뜨릴 수 있으면 한다.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had a great effect on Korea and China`s literature circle. That is, the organization of war writers in Korea and ``Ru Chao writers``(the writers who go to the north Korea) in China. As a ``weapon`` to encourage the victory, the war writer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Korea and China. So the literature took a political appearance during the wartime. Love represents one of human`s instincts. So the appearances of connection between love and war become an interesting subject. And also I want to show the relative independence of literature from the politics. This paper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love and politics, and focused on two pieces mainly. One is personal love`s ``concession`` to national love. Another one is the realization of the national love through the help of personal love. In this paper, I chose Jeong Bee-suk`s 「nurse officer」, Park Young-Jun`s 「partisan」 and Yang shuo`s 「Korean Peninsula」, Lu ling`s 「The battle the mud puddle」 as the respective novels. As is generally known literature could be influenced by the period, especially the war period. But that`s not blind loyalty. we should not neglect that literature can also use various narration methods to realize the political purpose. Therefore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relative independence of literature. And according to the paper, I hope that the prejudice to each other between Korea and China could be tore down.

1. 서론
2. 개인적 애정과 조국애의 ‘양보’관계-「간호장교」와 「삼천리강산」
3. 개인적 애정과 조국애의 합일적 관계-「빨치산」과 「저지대에서의 전투」
4. 결론-전선소설의 자율성 재조명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