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91
18.97.14.91
close menu
고교-대학연계프로그램에 대한 수요자 인식조사
A Research of the Recognition of Consumers on the High School and University Collaboration Programs
김상유 ( Sang Yu Kim ) , 박소연 ( So Yeon Park ) , 박여진 ( Yeo Jin Park ) , 박윤경 ( Yun Kyoung Park )
입학전형연구 vol. 4 207-227(21pages)
UCI I410-ECN-0102-2016-300-000694386

본 연구에서는 주요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고교-대학 연계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고, 실수 요자인 고교생과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고교-대학 연계 프로그램의 운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고교-대학 연계 프로그램을 학습형과 진로형 등으로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고교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고교-대학 연계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도를 조사하였으며, 대학에서 주관하는 주요 고교-대학 연계 프로그램의 유형별 선호도를 파악하였다. 각 대학에서는 진로형 연계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학습형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데 좀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인식도 조사 결과에 의하면 수요자 중심의 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진학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또한 수요자에 따라 매체별 선호도와 활용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정보 제공의 대상에 따라 매체별 내용 구성을 달리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high school and university collaboration programs and surveying the recogn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about the programs, we intended to adduce a operating direction of high school and university collaboration programs. First of all, we analysed the programs by making a classification in two types: study type and career type. On this, by carrying out a survey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we looked into their recognition about high school and university collaborations, and grasped their preference of the major programs of each type hosted by universities. The majority of universities were working on mainly the career type programs, therefore the vitalization of study type programs is needed more. An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survey results, the need-based programs should be vitalized more. On the access method of university admission informations, the different preferences and utilization of media were dependent on consumer types. Therefore, we recognized that the content configuration of each media sh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sumer types of inform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