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29.71.60
3.129.71.60
close menu
}
Session 2. Humanities and Social ⅱ : ■ Speech 3: 바라춤 춤사위를 통한 무용창작의 활용방안 모색
장민혜
UCI I410-ECN-0102-2016-680-000701398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요즘 다양한 전통문화 체험이 개설되고, 경복궁 야간개장은 기간을 확장할 만큼 큰 인기를 끌었으며 사람들의 한옥마을방문이 많아지는 등 우리 것에 대한 관심과 그 가치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전통춤은 다른 전통분야에 비해 비교적 인지도가 낮고 관심도가 낮다. 그 중에서도 불교의 의식무용은 불교인의 것으로만 치부되어 그 가치에 비해 대중들의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불교의 의식 무용 중 바라춤은 정갈하고, 정돈된 느낌이지만 또 화려하고 웅장한 춤으로 인정받는다. 또 바라춤 동작은 다양한 의미를 내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바라춤의 움직임특징을 분석하고 연구하여 재창조하여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 하고 그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우리의 전통춤을 현대인들이 조금 더 가깝게 느끼고 관심을 갖을 수 있도록 무용가들의 다양한 시도와 도전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도로 전통춤을 재해석하고 재창조하여 새로운 작품을 공연하는 ``한국무용제전``과 다양한 전통 의식 무를 모티프로 하여 작품을 선보인 국립무용단의 ``제의`` 등 이 있다. 불교의식 무용인 바라춤은 현대 무용가들에게 모티프가 되어 재창조되기에 그 가치가 충분하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