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5
18.97.14.85
close menu
Session 2. Humanities and Social ⅱ : ■ Speech 1: 김란류 소고춤 연구
최영란
UCI I410-ECN-0102-2016-680-000701378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본 연구는 최근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점차 확산되어 있는 김란류 소고춤의 춤사위와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충청도지역인 동시에 대전을 대표하는 김란의 무용을 학문적으로 체계화하는 작업의 일환으로서, 먼저 대전지역춤의 특성을 잘 담아내고 있는 소고춤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김란류 소고춤은 기방춤에 가깝다. 일반적으로 소고춤이 다양한 장단과 화려한 몸놀림(몸재간) 대신에 소고의 장단놀이보다는 단아하고 섬세하며 소고를 갖고 노니는 여인의 자태가 돋보이는 춤이다. 이 춤은 손잡이가 없는 소고를 잡은 왼손과 소고채를 쥔 오른손을 번갈아 가며서 크고 작은 태극모양을 몸 안쪽으로 돌리며 추는 것이 이 춤의 특징이다. 이것은 동작이 확산되어져 있다가 안으로 모아지는 동작이 많이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동작이 다양하기 보다는 구성이 단조롭고 깨끗하며 섬세하다. 또한 입춤의 정적이고 단아한 춤사위에 소고라는 동적이고 질박한 무구의 장단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어낸 춤이다. 앞으로 ``김란류 소고춤``의 전승과정, 춤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서 충정·대전을 대표하는 민속춤의 한 종목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