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23.92.85
3.23.92.85
close menu
}
인문사회학편 : 한국 공군 군사외교정책 발전방향 연구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ilitary Diplomacy Policy of KAFA
김영욱(조교수) ( Young Wook Kim )
UCI I410-ECN-0102-2016-000-000698941

냉전 종식 이후 세계화 과정을 통해 국재사회는 초국가적 안보 위협에 공동으로 대체해야하는 필 요성과 네트워크 국제질서 구촉으로 인한 상호의존성 증가로 무력을 통한 갈등 해결 보다는 대화와 협력을 통한 문제해결 방법을 자연스럽게 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국지질서 환경에서 군사외교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각 나라들은 국가안보전략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군사외교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군사변환을 추구하고 있다. 군사외교 개념은 아직 확고히 정립되지 않았으나 국방목표와 외교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군사부문의 외교적 영역과 외교부문의 군사적 영역을 포괄하는 국방당국자의 외교적 활동 및 외교 당국자의 군사적 활동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국제정치 이론상 군사외교는 자유주의 이론과 친화력을 가지나 군사교류나 협력을 통해 국가 간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는 구성주의적 시각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 공군은 국가목표 및 국방목표에 부합하는 군사외교목표를 설정하여야 하며, 한미동맹의 강화를 기반으로 군사외교 대상을 잠재적 방산 협력국으로 확대하고, 포괄 안보 시대에 걸맞은 군사외교 고도화 및 다자화를 목표로 하여야 한다. 이러한 목표를 바탕으로 군사외교 환경을 분석하고, 정책 중점과 과제를 설정하여 군사외교정책을 결정하고, 국내 유관기관과의 유기적 협조 및 국제적 차원에서의 공조를 강화하는 체계 속에서 군사외교정책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군사외교의 범위를 확대해나가되 정보, 작전에 치우려 있는 현 군사외교 분야를 방산분야로 강화해나가야 하는 과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In the post Cold War world order through the subsequent process of globalizati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as seeking the way [or solving the security problem through dialogue and cooperation. rather than ronmC! resolution through army due to the increases of interdependence and construction of network international order. The importance of the military diplomacy in this kind of international order is even more apparent and each country is pursuing a military transformation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military diplomacy in order to promote the effect of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The concept of Military Diplomacy is nOl yet fimlly established but can be understood as the acth``ilies of the military affairs officials in the diplomatic area and the activities of the foreign affairs officials encompassing mili tary sector to achieve military and diplomatic objectives of the country. International political theory. military diplomacy is conSlructivist perspective that can convert awareness into positive affinity between liberal theory and gajina the couwy through military exchanges and cooperation have attracted attention. Korea Air Force shall set up a mili tar)`` diplomacy aims to meet the national and defense objectives, and expand potential panners in defense industry area and sophisticate military diplomacy strategy in the comprehensive security which is based on strengthened Korea-US alliance. Based on these goals. military diplomatic policy of KAFA should be deter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military diplomatic environment by setting the policy benefits in the framewo rk of strengthening cooperation with the domestic related institutions and the international partners. [n addition, KAFA military diplomacy policy should be more concentrated on not only in the intelligence and operational sector but in the defense industry area.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