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大學章句』의 내용을 비교하고, 양자 간의 상이점인 ``必自慊``(한국)과 ``一於善``(중국)을 키워드로 삼아 이에 대한 한·중 학자들의 변석 양상을 살펴보았다. 중국에서는 두 가지의 변석이 『대학장구』의 정본을 확정하는 문제와 연관되어 있었다. 朱熹의 사후, 宋·元代에는 ``一於善``이 정설이었다가, 이후 永樂 13년(1415)에 편찬된 『四書五經大全』의 영향으로 祝洙의 『四書附錄』본, 즉 ``必自慊``으로 쓰인 판본이 주류를 이루었다. 淸代에 이르러 『사서오경대전』은 총체적인 비판을 받았고 이러한 태도를 견지한 吳英·吳志忠은 ``一於善``을 정설로 채택하였다. 현대에 이르러 吳氏의 판본이 선본으로 평가되면서 ``一於善``을 주희의 정론으로 인정한 中華書局本 『사서집주』가 성립되었다. 조선의 경우에는 『사서대전』본을 중심으로 『대학장구』를 접하였기 때문에 대체로 대전본의 내용을 수용하여, 주자가 임종 사흘 전에 ``一於善``을 ``必自慊``으로 개정했다는 陳력의 견해를 신뢰하였다. 17세기 중엽에 이르러 ``必自慊``과 ``一於善``에 관한 상세한 논의가 제출되었다. 대체로 각 설의 우열을 논하기보다는 주희의 사고의 맥락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내용이 주조를 이루며, 특히 각각에 대해 『朱子語類』나 『朱子大全』에서 근거를 찾고 정밀하게 검토하는 작업이 두드러졌다. 18세기에는 대전본의 주석 및 여타의 주석서를 폭넓게 살펴보고 비판적 결론을 도출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중요하게 참고했던 책으로 淸代 李沛霖의 『朱子四書異同條辨』이 있었다.
When comparing Korean and Chinese editions of Daxue Zhangju (大學章句), we can find a difference in Zhuxi`s annotation - written as 必自慊 in Korean version and 一於善 in Chinese version in the part of explaining the concept of 誠意 in Chapter 1- and that small variation of words shows the difference of understanding the prestigious scholiast`s annot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academic society. In the determination of official Daxue Zhangju, there were two main arguments in China. After Zhuxi`s death, 一於善 was widely accepted in Song and Yuan Dynasty, but it was overturned to 必自慊 under the influence of 『四書五經大全』 published in 1415, until 吳英·吳志忠 claimed 一於善 as the original version thanks to the widespread criticism against the Youngle(永樂) Edition in Qing dynasty. Since 吳`s edition established high reputation today, 一於善 is recognized as what Zhu originally meant to write. In Joseon, however, 陳력`s assertion appeared in 『大全』 that Zhuxi revised 一於善 to 必自慊 on three days before his death was dominant argument because Youngle Edition was the major platform to read the book from the very beginning. In mid 17th Century, there was an in-depth controversy on 必自慊 and 一於善, but most arguments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great annotator`s logical connection rather than judging right and wrong of each theory, and they closely reviewed 『朱子語類』 and 『朱子大全』 to find reliable authority for the purpose. In 18th Century, there was a tendency that cites not only annotations from Youngle Edition but various explanatory notes about the subject to draw critical conclusion. 『朱子四書異同條辨』 by 李沛霖 in Qing Dynasty was one of the major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