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3
18.97.14.83
close menu
Accredited
바다, 섬, 항구, 그리고 방언
Sea, Islands, Harbor and Dialect
한성우 ( Sung Woo Han )
탐라문화 vol. 51 7-32(26pages)
UCI I410-ECN-0102-2016-910-000705539

이 논문은 인천과 인천 근해의 섬의 말에 나타나는 방언의 단절, 도약, 융합에 대해 서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천은 근대 이후 개항을 통해 성장한대도시이며 인근의 강화도, 교동도, 덕적도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 지역은 한국어의 대방언구획에 따르면 중부방언에 속하며 언어적으로도 중부방언의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뱃길로 서로 이어지기 때문에 경기도, 충청도, 황해도의 말이 뒤섞이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바다로 가로막혀 있는 지역이라 특성상 다른 지역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독특한 말이 나타난다. 이러한 독특한 말은 각 지역 말의 특징이라고 할 수도 있고 바다에 의한 언어의 단절이라고 할 수 있다. 바다로 가로막혀 있지만 항구와 항구를 잇는 뱃길이 열려 있어 이 뱃길을 통해 다채로운 방언의 도약도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도약된 방언은 각 지역의 본래의 말과 융합된다. 바다는 방언의 전파를 가로막지만 방언 전파의 새로운 양상을 만들어 내는 길이도 한다.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severance, jump and convergence of dialect that appear in Incheon and neighboring islands. Incheon is a megalopolis which is developed after the opening of a port and Incheon had made intimate relationship with neighboring islands; Ganghwa, Gyodong, Deokjeok. The dialect of this region belongs to the Central dialects and linguistically also share features of the central dialect. Because this city and islands are well connected by seaway, each dialectal factors are actively mixed. However, they are blocked by sea,each region has there own characteristic dialects. This characteristic dialects are regarded as the unique dialectal features or the result of severance by sea. Although this region is intercepted, many dialectal features jump over each region along with seaway between harbors. And the dialectal features are converged with the original language. Sea is not only the obstruction of dialectal spread but also the new way of dialectal defusion.

Ⅰ. 들어가는 말
Ⅱ. 섬과 방언의 단절
Ⅲ. 뱃길과 방언의 도약
Ⅳ. 항구와 방언의 융합
Ⅴ. 나오는 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