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2014년 10월 8일부터 16일까지 한국에서 개최된 < 2014 국제미술평론가협회 학술대회 및 총회 2014 AICA International Congress >의 실례를 통해 국제 학술행사 기획에 따르는 필수적인 행정 과정과 현실적이고 제도적인 문제를 실례를 제시하고, 미술이론과 예술경영의 융합으로 더욱 발전적인 국제행사를 도모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행사과정의 정확한 기술이 예술 경영의 발전에 도움이 되리라 여기고 대회의 유치과정, 기획 의도를 상세히 밝히고 그 의도에 따른 한국 미술 비평계의 지평 확대 등 기대효과를 기술하였다. 또한 재정확보, 사무국 운영, 발제자 선정, 다양한 기관간의 협력, 홍보, 출판제작물, 연계 프로그램 개발 과정을 적었다. 국내 미술비평의 지평확대, 예술행정 수준의 도약계기, 국내 미술비평의 국내외적 존재 확인과 위치를 재고(再考)하는 계기를 마련한 점을 대회의 성과로 평가하는 한편, 자료 보존 작업, 국제적인 인적, 학문적 교류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 국내 미술비평의 미래의 방향성, 전문 인력의 지속적인 훈련방안, 주체간 협력체계 개선 등을 향후 과제로 제안하면서 무엇보다 한국 미술 국제화를 위한 이론과 예술행정의 융합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essay documents the 2014 AICA International Congress Korea based on the experience of organizing the event. As an actual practice of the art management, the documentation of such international event will help hosting and proceeding international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in the future. Since the exact documentation of the process of the event will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e art management in Korea, the essay explains the hosting process of the event and the intention of the planning which aims to expand the horizon of Korean art criticism. It describes in details securing budget, managing the organizing committee, selecting speakers, cooperating with various organizations, public relations, publications, and designing related events. It assesses that the outcome of the event are the expansion of the horizon of Korean art criticism, the leap of Korean art management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the improvement of the international status of Korean art criticism. On the other hand, it suggests that future tasks of such event are archiving documents, developing detailed methods for further intranational personal and theoretical exchanges, training experts for such massive international events, and improving cooperating systems among participating organizations. Above all, it emphasizes the need for combining theory and art management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