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1
18.97.9.171
close menu
Accredited
로잘린드 크라우스 포스트 미디엄 이론의 이중성에 관한 변증적 고찰
Notes on the Duality in Rosalind Krauss` Post-Medium Condition
최종철 ( Jong Chul Choi )
미학예술학연구 vol. 46 211-263(53pages)
DOI 10.17527/JASA.46.0.07
UCI I410-ECN-0102-2016-600-000704877

본 논문의 목적은 미국의 이론가 로잘린드 크라우스의 포스트 미디엄 이론에 내포된 이중성을 고찰해보고, 이 이중성이 포스트 미디엄과 포스트 미디어로 양분되는 오늘날의 매체 담론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크라우스의 ‘포스트 미디엄 이론’이란 반그린버그의 구호 아래 예술의 형식적 특정성을 배격하는 현대 미술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이로부터 예술 고유의 가치(특정성)를 재소환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크라우스의 이론은 모순적 이중성 위에서 전개되는데, 이 이중성이란 먼저 그린버그의 형식적 특정성에 반대했던 과거의 크라우스와, 특정성을 재요청하는 오늘날의 크라우스 사이의 이중적 태도를, 그리고 개념/기술 중심의 현대미술을 비판하면서 동시에 “기술적 토대(technical support)”와 같은 용어로 이러한 예술의 동시대성을 구원하려는 그녀의 이중적 태도를 의미한다. 본 논문은 크라우스로부터 포착된 동시대 매체이론의 이러한 이중성이 가장 첨예한 모순을 드러내는 계기를, 포스트 미디엄 조건의 유보 혹은 반복이라 할수 있는, ‘포스트(디지털) 미디어’ 예술들 속에서 발견 한다. 논자는 이 양자의 차이와 연관 그리고 기원과 반복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상술한 모순적 이중성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논자는 페터 뷔르거의 아방가르드 이론과 할 포스터의 네오 아방가르드 이론의 논리적 구조를 살펴볼 것이다. 왜냐하면 미술사적 사태의 ‘기원’과 ‘반복’에 대한 두 이론적 선례들이 미디엄-포스트 미디엄-포스트 미디어 사이의 차이와 연관을 설명하는데 유용하게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논자는 이러한구조를 빌어, ‘포스트 미디어 예술은 모더니즘과 연관된 포스트 미디엄의 저항을 모방함으로써 그들의 실패를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저항의 동력을 귀환시키고 실패를 재조건화함으로써 포스트 미디엄을 확장하는 것’이라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주장을 통해 논자는 미디엄과 미디어 사이를 가로지르는 크라우스의 이중적 태도가 사실상 어떤 필연적 인과관계에 의해 매개되고 있음을 증명하고, 나아가 오늘날 역사의 종말과 미술사적 관습의 해체를 주장하는 미디어 이론에 유의미한 반론을 제기하고자 한다.

This essay aims to clarify the duality of (Rosalind) Krauss`` Post-Medium condition, and therein, questions how this duality works in our efforts to bring together both the post-medium art and the post-media art. The duality here derives from Krauss`` contradictory claims in her recent theories: Krauss taught us, back in 80s, the collapse of specificity in the postmodern era was ‘an expansion,’ while she’s now changed this thought, considering the same event as “a monstrous myth.” The duality also comes from the paradox that even though Krauss discredits installation (as non-art, kitch, etc.), most artists in her “crusades” against ‘the monstrous myth’ somehow involve installation, embracing media technologies. Arguably however this duality illuminates the crisis of contemporary art that fails to maintain its specifity in the cult of digital generality. As Krauss would agree, this anti-specificity in recent digital arts appears to be a repeation of the post-medium conditions whose origin can be found in the Duchampian ‘disgust’ on aesthetic traditions. Today we live on this contradiction as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and understand it. Peter Burger``s 『heory of Avant-Garde』 and Hal Foster``s 『 Who is afraid of Neo Avant-garde?』will be reviewed in that for both, the repetition and contradiction in history was a central issue. As Foster`s argument goes, the post-media situation is not a repetition of its failed predecessor (the post-medium condition); rather it symptomizes the problems, simulated and understood by post-media``s dialectical turn. To this end, this argument will prove that Krauss``s duality is not a blind dead-end of hercritical endeavor, but an insight through which one can see the true face of contemporary media/medium ar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