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6.52.206
18.226.52.206
close menu
}
KCI 등재
일제 강점기 경북 영일군의 이주일본인 증가와 토지소유 확대
The increase of Japanese immigrants and the expansion of land ownership of Gyeongbuk Yonngil-gu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손경희 ( Kyoung Hee Son )
대구사학 122권 159-202(44pages)
DOI 10.17751/DHR.122.159
UCI I410-ECN-0102-2016-900-000704750

본고는 일제강점기 경북 영일군을 중심으로 이주일본인의 증가와 토지소유 확대를 살펴보았다. 일제 초기 일본인들은 도로와 철도 교통이 편리하고, 넓은 평야지역을 배후 지역으로 하는 곳으로 이주했다. 이러한 조건을 갖춘 곳이 경북지역에서는 영일군이었다. 영일군은 경북지역의 대표적인 평야가 연일평야를 끼고 있었다. 넓은 평야지대를 배후지역으로 한 영일군으로 이주한 일본인들은 초기에는 동해중부선(東海中部線)을 비롯한 편리한 교통편을 바탕으로 곡물거래를 주도했다. 그들은 연일평야에서 생산된 곡물을 집산해서 일본으로 반출시켰다. 당시 영일군은 철도·항만·도로 등의 기반시설이 마련되어 주변 지역의 곡물과 수산물을 수집하여 일본으로 반출시키는 식민도시의 역할을 하였다. 영일군에 이주한 일본인들은 상권 장악을 바탕으로 자본을 축적한 다음 회사경영을 하는 경우도 생겼다. 포항에 가장 먼저 이주했던 中谷竹三郞이 대표적이었다. 中谷竹三郞은 초기 상업 활동을 하다 경북어업(주), 공영자동차(주), 포항운송(주), 경북수산(주), 中谷竹三郞商店(주), 조선축산(주), 경북물산(주) 등의 다양한 사업을 운영한다. 한편 영일군 이주일본인들은 농업이민에 큰 관심을 가졌다. 그러나 영일군에서 기간지를 차지하기 어려웠던 이주일본인들은 주로 미간지(原野, 황무지, 草生地, 沼澤地, 干瀉地)를 대부받았다. 그들은 일제로부터 대부받은 미간지를 통해 빠른 시간안에 대토지 소유자가 되었다. 대표적인 인물이 大內治郞과 大塚昇次郞이었다. 그들은 대부받은 미간지를 통해 목축과 농업경영을 시작했다. 특히 大塚昇次郞이 소유한 형산강 하천 일대의 막대한 미간지를 畓으로 전환하기 위해 수리조합을 설립하고자 한다. 그 결과 경북에서 일본인이 세운 최초의 수리조합인 영일수리조합을 설립한다.

This paper will explore the increase of Japanese immigrants and the expansion of land ownership focusing Gyeongbuk Youngil-gu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Japanese in the early Japanese colonial era moved to the broad plain area as area of rear where the road and railroad transportation is convenient. The representative plain of Gyeongbuk region stretched over Yeonil plain in Youngil-gun. Japanese immigrants who had the wide plains as their area of rear initially took lead the corn business through a convenient form of transportation including the East Sea central track. They sent out the collected grain produced on Yeonil plain. At that time, Youngil-gun had the railroad, port, road etc. infrastructures and played a role as colonial town in carrying out the collective crops and Fishery products of the peripheral areas. Japanese immigrants who moved to Youngil-gun accumulated capital through gaining commercial supremacy and then they started company management. 中谷竹三郞 who emigrated to Pohang first was representative. 中谷竹三郞 was doing commercial activities at first and ran various businesses like Gyeongbuk fishing business, Inc., public automobile Inc., Pohang shipping Inc., Gyeongbuk fishery Inc., 中谷竹三郞商店 Inc., Chosun livestock Inc., Gyeongbuk produce Inc. commercial activity. Meanwhile, Youngil-gun Japanese immigrants had a major concern for agricultural immigrate. But, Japanese immigrants had a hard time to occupy cultivated land so they took out uncultivated land. Through uncultivated land received from the Japanese Empire, they became a latifundist in a short time. 大內治郞 and 大塚昇次郞 were the representative men. They could begin farming and agricultural management with loaned uncultivated land. Particularly, we intend to establish an irrigation association to convert the enormous uncultivated land of entire Hyeongsan River owned by 大塚昇次郞 into a rice field. As a result, we establish a Youngil irrigation association which is the first irrigation association established by Japanese in Gyeongbuk. (Keimyung University, khsom@kmu.ac.kr)

서론
영일군 일본인 이주 증가와 상권장악
영일군 이주 일본인의 농업경영과 토지소유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