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앙행정기관의 5개 소속기관에 근무하는 610명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임파워먼트와 성과 간관계를 개인의 내재적 동기요인이 매개하는지 여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해당 구성개념 간 인과관계 및 매개효과를 연구하기에 앞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각 구성개념의 요인모형과 모형적합도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구조모형의 기본모형에서 임파워먼트가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매개변수를 통해서도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기본모형에서는 임파워먼트가 조직성과, 이타행동, 제안행동, 그리고 공공서비스동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매개변수가 조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경쟁모형에서 이타행동, 제안행동, 그리고 공공서비스동기가 임파워먼트와 성과 간 관계를 완전매개하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임파워먼트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매개변수의 완전매개효과를 통해서 조직성과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