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1
18.97.14.81
close menu
한국 회화사(繪畵史)에 등장하는 호랑이의 상반(相反)된 상징성(象徵性) 연구
A Study of the Tiger`s Conflicting Symbolism as Represented in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s
김용권 ( Yong Kwon Kim )
동양예술 vol. 8 380-410(31pages)
UCI I410-ECN-0102-2016-910-000704007

우리 민족에 있어서 호랑이는 어떠한 동물보다도 각별한 관계로, 각종 說話나 文學은 물론 繪畵에도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다. 그 가운데 繪畵史에 등장하는 호랑이는 시대에 따라 그 모양이나 상징성에 차이를 보이면서도, 구체적으로 연결해서 생각하고 추측해 보면 서로 상반되는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를테면, 인간의 편에서 호랑이는 사악한 잡귀와 싸우는 避邪의 상징으로 묘사되기도 했고, 민간의 설화속에서는 작은 동물들에게 놀림을 당하기도 해온 우둔한 동물로 묘사되기도 했다. 이와 같은 호랑이의 相反된 象徵은 조선시대 歲畵나 民畵로 이어져 守護的인 기능과 諧謔的인 모습으로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호랑이가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미술의 소재로 쓰여지기 시작한 것은 先史時代부터로, 이 때는 호랑이가 단순히 狩獵의 대상이었다기보다는 呪術的인 의미를 가졌거나 신앙의 대상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는 경남 蔚州郡의 大谷里盤龜 臺岩刻畵(국보 285호)에 보이는 줄무늬인 참호랑이와 점무늬의 개호랑이(표범)가 등장하는 것에서 증명될 수 있다. 그리고 고구려 古墳壁畵에 나타난 호랑이는 이와 같은 주술적 의미를 포함하는 가운데 수호신적인 역할과 해학적인 모습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후, 호랑이의 상반된 상징성은 삼국시대 石塔이나 墓, 그리고 瓦當이나 土器 등 공예품에 등장하고, 신라·고려 시대의 磁器나 彫刻과 함께 조선왕조의 繪畵, 影刻, 建築 등으로 이어져 그 일단을 분명히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硏究의 주된 목적은 이와 같은 호랑이의 상반된 상징성을 찾고자 하며 그 특징과 관련한 전통을 추적하고자 한다. 그러자면 먼저 한국인은 어떠한 사상과 의식에 바탕을 두고 호랑이 그림을 생활속에 이용하였는가를 폭넓게 살펴야 할 것이며, 목적한바 호랑이의 상반된 상징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다음은, 이렇게 드러난 호랑이의 상반된 상징성 즉, 수호적인 상징성과 해학적인 상징성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러한 결과에서 호랑이의 상반된 상징성이 오늘날 民俗史料的 측면에서 어떠한 의미와 가치가 부여되는지 論하고자 한다.

For the Korean people, a tiger is a very intimate animal; more so than any others and it has appeared frequently in various folklore, literature, and paintings. Among them, the tiger that has appeared in the history of pictures showed differences in appearance and symbolism according to the times. Thinking concretely about these propertie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conflicting symbols. For example, sometimes, the tiger was described as the symbol that fights against wicked demons for humans, but in much folklore, the tiger was used to describe a foolish animal that was a mocked by small animals. Such conflicting symbols succeeded to the New Year`s paintings in the Joseon Dynasty, which clearly showed the tiger`s protective image as well as its humorous image. It has been since the Seonsa Era that a tiger was used as the subject of paintings in a close relationship to our daily life. At that time, it was thought that the tiger had a superstitious meaning or a religious meaning, rather than a simple target of hunting. This was proven by the Cham-tiger with stripes and the Gae-tiger with spots (the leopard) that is engraved on the Bangudae Petroglyph in Deagok-ri, Eulju-gun, Gyongsangnam-do (National Treasure No. 285). Also, the tiger described in Goguryeo`s Wall Painting in the Tomb had a superstitious meaning, as it took the role of a protecting God and an humorous Image. Since then, the tiger뭩 conflicting images have appeared on stone towers, tombs, roof tiles, and art craft, such as earthenware in the Samguk Dynasty. The images also succeeded to the Silla Dynasty and the Goryoe Dynasty through chinaware and sculpture. In the Josean Dynasty, such images were kept in paintings, sculpture, constructions, etc.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nflicting image of a tiger and trace the tradition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it should be first investigated how Koreans used tiger paintings in daily life based on thoughts and beliefs in order to reveal the conflicting images of the tiger. Then,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ing symbolisms of a protective image and an humorous image should be presented specifically. Based on the results, I would like to discuss the meaning and value found in the conflicting symbolisms of the tiger in terms of folk histor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