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대 암각화는 원시미술로 분류되는 선사시대 그림으로 경남 언양 대곡리 바위에 새겨져 있다. 반구대 암각화의 발견 과정과 제작 연대, 제작 기법, 그리고 장소적 특성을 중심으로 암각화 왼편에 위치하고 있는 고래 그림을 시각적 인식으로 분석한 결과, 구석기 시대의 사실적 묘사와 유사한 양식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이 고래 그림의 제작 연대가 구석기 시대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또한 이 그림이 고래 사냥을 위한 주술적 목적으로 제사장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다시 말하면, 그림의 뛰어난 사실적 묘사를 가능하게 했던 원시인의 시각적 인식이 미술의 제례적 기능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았다. 원시 미술의 제례적 기능에는 원시 사회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자연에 대한 인식과 원시적 신앙이 내재되어 있다. 그렇다면 원시 시대의 미술은 시각적 능력이 발달한 우뇌 중심적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의 의도는 원시 미술의 시각적 인식력을 재해석함으로써 좌뇌 편중의 현대 교육에 의해서 잃어버린 미술의 제의적 기능을 되살려야 한다고 주장하려는 것이다. 우뇌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미술은 작업과정에서 드러나는 자기표현으로 자신을 객관화하면서 마음을 풀어내는 미술의 치유적 기능을 할 수 있는 긍정적 측면이 있다. 이러한 자기 표현으로서의 미술의 자기 치유적 기능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우뇌를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시각 교육이 필요하다. 우뇌로 보고 그리기는 인간다운 삶을 위한 기본적인 권리를 회복하기 위하여 기초교과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미술의 이러한 치유적 기능은 전통적 교육에는 일정 부분 내재되어 있었으나 무비판적으로 진행된 서구적 근대화의 과정 속에서 사라져버렸다. 이를 되찾기 위하여 반구대 암각화의 제례적 기능을 시각적으로 이해하는 일이 중요하다. 더구나 이 그림은 우리나라 그림의 시원으로서 한국미의 특성인 자연미와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반구대 암각화가 가지고 있는 이 같은 의미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논의와 연계하여 현대적 의의를 찾아보고 미술의 자기 치유적 기능을 현대의 삶과 예술에서 되찾아야 한다는 것이 본 고의 중심 주장이다.
BanGuDae Rock Art is classified as a prehistoric rock painting and is engraved on a rock in Daegokri, Unyang, Kyoungam province. Through research on Bangudae rock art, its discovery, period of painting, painting techniques, geographic features, and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whale painting on the left of the paintings, it was confirmed that the whale painting was similar to the realistic depiction of Paleolithic era. This signifies that the whale painting may have been painted as long ago as the Paleolithic era. This paper assumes that this whale painting was painted by the temple to pray for whale hunting. In other words, it is suggested that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primitives which made possible the exceptional realistic depiction was fostered by the ritual role of art. The primitive peoples` perception of nature and their primitive religions are inherent in the ritual role of primitive art. In that case, it can be stated that primitive art was based on the right side of the brain which has developed by visual ability.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visual perception of primitive art,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ritual role of art that was lost due to the left brain based modern education should be revived. A right-brain-based art education has a positive perspective in that it allows the students to objectify themselves through self expression, and thus performs the relieving and healing role of art. In order to revive the self-healing role of art in self expression, a visual based education is needed to effectively developthe right brain. Seeing and drawing through the right brain should function as a fundamental curriculum to revive the basic right of human life. Although this healing role of art was partially inherent in traditional education, it disappeared during the unquestioned process of western modernization. To rediscover this role, it is important to visually understand the ritual role of the BanGuDae rock art. Moreover, it must be noted that this painting is the origin of Korean art and has the natural beauty and symbolism that characterize Korean beauty. The significance of BanGuDae rock art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discussion of postmodernism to search for a modern meaning, and the self-healing role of art should be rediscovered in modern life and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