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1.32.186
3.141.32.186
close menu
}
역의 괘상과 서예의 생명정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 Book of Changes` trigrams and "the spirit in nature and the vigor" in calligraphy
김응학 ( Eung Hak Kim )
동양예술 10권 146-171(26pages)
UCI I410-ECN-0102-2016-910-000703439

서예는 한자의 기초 위에서 생산된 예술이다. 서예와 한자의 근본 차이는 한자가 보여주는 생명 내용을 확대하였다는 데에 있다. 서예는 한자의 생명을 取法하고, 다시 새로운 생명을 창조하여, 그것으로 하여금 진정으로 생명의 형식이 되게 만든 것이다. 중국예술은 觀物取象의 전통이 있다. 易은 하늘과 땅의 자연을 모범으로 하여 만들어졌는데, 성인은 하늘과 자연의 象과 이치를 본받고 그것을 형상화하여 팔괘를 만들었다는 일종의 觀物取象을 말하고 있다. 서예는 우주만상 중에서 획득된 생명 존재 운동의 情意를 예술 의식으로 승화시켜 서예 形象의 창조를 관조하였다. 서예에 비유된 象은 바로 하나의 생명 세계이다. 象으로 비유하는 것은 표현의 매개가 될 뿐만 아니라, 또한 그 자체가 바로 하나의 생명체이며, 生命의 隱喩임을 말하는 것이다. 이 觀物取象을 서예와 관련지어 이해하면, 첫째는 자연의 物象을 취해서 글씨에 부친다는 것이고, 둘째는 자연의 氣勢와 우주만물의 韻味를 모방하여 서예의 근골과 혈맥을 관통시킴으로써 그 생명의 율동을 취한다는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 서예는 기본적으로 ``法象``의 결과라는 것이다. 서예의 본질을 탐구하는 측면에서 고찰하면, 서예는 항상 自然의 象, 漢字의 象 및 易卦의 象과 관련되는데, 서예는 곧 이 세가지 象의 작용 아래에서 생겨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取象은 바로 생명을 본받고 생명을 드러내는 것을 의미한다. 서예형식의 구성으로부터 살펴보면, 선의 형성은 象에 근원하고, 書勢의 구조는 象을 모방하고, 전체적인 형식은 象을 본받는다. 즉 象을 취한다는 取象說은 서예의 가장 중요한 이론이고, 또 서예의 강령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e origin of calligraphy is closely related to that of character, which is seen as directly successive to the creation of identification of things in the Book of Changes. Calligraphy was not created in completely the same aspect as the composition of character and identification of things, but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consistently remained in the creation of calligraphy. Chinese art has the tradition of seeing a thing and taking its form, which means that changes were made on the model of heaven and earthly nature and that a saint created the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 by imitating and formalizing the forms and principles of heaven and nature. Calligraphy contemplated its created forms by subliming into an artistic sense the affection of moving vital existence acquired among all things in the universe. A form compared to calligraphy is just one world of life. Comparison to a form is not only a medium of expression but itself is just a living thing and metaphor of life. In connection with calligraphy seeing a thing and taking its form is understood first as taking an object from nature and attaching it to a letter, and secondly as taking the rhythm of life in nature and all things in the universe by imitating the spirit in nature and the vigor in all things in the universe and penetrating calligraphic bones and sinews and blood vessel into them, which basically sees calligraphy as a result of ``the original form``. Investigated in the aspect of exploring the essence calligraphy which is always related to the forms of nature, a Chinese character and the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 in the Book of Changes can be said to emerge from the operation of the three forms. Taking a form means just imitating and revealing life. From the formal composition a formed line is based on a form, the structure of calligraphic spirit imitates a form, and its general form imitates a form.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theory of taking a form is the most important one in calligraphy, and the platform of calligraph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