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이라는 학문의 명칭을 부여하고 체계를 구축한 것은 서구 근대 의일이지만, 동아시아의 한자 문화권의 경우 아주 오래 전부터 고유한 심미의식이 발달하였음은 물론 이에 대한 미학적 성찰도 활발히 전개되었다. 본래 중국 한국 일본은 미학적 사상이 유구하며 풍부한 나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동양미학에 관한 탁월한 연구가 많았다고는 볼 수 없다. 그 이유는 인문학의 경우에도 과학과 마찬가지로 방법적 엄밀성에 대한 의식이 현저하게 요구되어짐에 따라 서구의 학문적 전통을 충분히 소화할 필요가 있었고, 서구의 사상에 관심을 빼앗겨 자신이 속하는 동양의 미학시장을 학문적으로 정리하는데는 소홀했기 때문이다. 이제 새로운 세기에 접어들어 전(全)인류적 시각에 입각한 한층 통합적이고 고차적인 미학이 요청된다. 그런 의미에서도 동양미학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우리들의 문화의 다양성과 보편성이 함께 공존하고 동서의 문명이, 그리고 자연과 인간이, 또 전통과 현대가 함께 공생할 수 있는 가치관에 입각하여 시대의 다양한 과제를 해결해야한다. 기계 기술에 의해 상실된 인간성을 회복하고, 감성의 복권을 통한 인간정신의 순화를 도모하며, 자연의 은혜에 대한 재인식을 바탕으로 환경보전에 주력해야 한다. 동양의 전통 속에서 이러한 문제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지혜를 찾아내야 한다. 동양의 미학사상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했지만, 그 근저에는 몇몇 공통적이고 지속적인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 동양인에게서 자기와 세계의 근원에 있는 것은 ``도(道)`` 즉 천지 대자연의 조화의 이법(理法) 또는 이 세계를 관통하는 우주적 질서였다. 동양에서는 학문을 일찍부터 인간이 사회 속에서 훌륭하게 삶을 영위해 나가기 위한 방편으로 생각하였다. 실천을 우선적으로 생각하는 만큼 학문은 윤리나 교육의 영역과 깊은 관련을 맺게 된다. 공자·맹자이래 동양미학을 관류하는 인간형성의 미학의 전통은 근대에 이르러 중국에서 ‘미육(美育)``이라는 형태로 정착되었다. 서양에서도 미적 교육론 내지 예술교육론이 있지만, 동양의 경우 미학 그 자체가 미육의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는 만큼 이 부분의 활성화가 기대된다. 여기에서 필자는 한국미학 내지 한국예술을 연구하는 방법적 시야를 확장한다는 취지에서 ``결여(absence)``와 ``역결여(reverse-absence)``라는 개념을 도입해 보고자 한다. 결여란 ‘외국에 있는 것이 우리에게는 없다’라고 하는 시각이며, 역결여란 ``우리에게 있는 것이 외국에도 있다``라는 시각이다. 시대의 변화를 의식하고 세계속의 한국을 생각하면서 민족·국가·문화의 다원성을 바탕으로 한 인류공영을 지향한다면, 우리의 문화와 함께 다른 문화도 존중하며 우리만이 가지고 있는 것도 소중하지만 혹시 우리에게 없는 것, 결여된 것이 무엇인지도 아울러 찾아보아야 할 것이다. 나아가 역결여의 문제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즉 우리 한국에만 고유하게 존재하는 것으로서 외국 또는 타문화에는 없다고 여겨온 것이, 실은 심도 있는 고찰과 분석을 결과 외국 또는 타문화에도 역시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는 관점이다.
The discipline of aesthetics was established in modern western world. However, the eastern countries such as China, Korea and Japan, had a long history of great artistic culture and developed their own aesthetic consciousness. In spite of that there were not so many studies on eastern aesthetics. The reason is that eastern way of thinking is different from that of western, analytic and systematic. But they have shown the wisdom of attaching importance to wholeness, harmony and vitality. In new millenium, we need a more integrated and higher aesthetics based in a global perspective. We should solve various tasks grounded on the conviction that diversity and universality. eastern and western culture, moreover human being and nature could coexist and compensate each other. We should to restore the humanity which was deprived by technology, and to facilitate the refinement of human mind and the preservation of environment. It is expected to find the wisdom to answer these questions in eastern traditions. Although the eastern aesthetic thoughts has been brought out in various way according to periods and regions, it contained some common and lasting characteristics in its basis. The origin of world and self for eastern people is Tao, namely the principle of harmony in great nature, or the cosmic order passing through the world. In eastern culture the learning has been considered as a means to live well inhuman society, and the scholarship is connected deeply with the realm of morals and education. The aesthetic tradition of human cultivation from the time of Confucius and Mencius has prospered as ``aesthetic education`` in modern China. As a matter of course, there are studies on the aesthetic or artistic education of course in western culture. Yet, eastern aesthetics itself has a strong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education, and so the activation of this dimension is expected in the future. Moreover, I would like to suggest the concepts of ``absence`` and ``reverse-absence`` in order to enlarge the methodological thinking for the study of Korean art and aesthetics. Absence is a viewpoint that the thing of others doesn`t exist for us. Reverse-absence is a viewpoint that the thing of ours does exist also for others. If we aims at the mutual prosperity of human beings from the standpoint of Korea in the world, we should respect both our own or other culture and notice the absence in ourselves. Still, we should consider the problem of reverse-absence. It is to know through investigating deeply that the peculiarity of Korean culture does exist also in foreign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