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7.51.81
3.147.51.81
close menu
}
개혁개방 이후 중국현대미술의 변화와 주요경향-청년세대들의 실험과 예술세계
改革開放以來的中國現代美術的變化和主要傾向
최병식
동양예술 10권 6-42(37pages)
UCI I410-ECN-0102-2016-910-000703393

최근 30여년 동안의 중국미술계의 변화는 첫 번째 단계인 1976년 4인방이 실각한 이후1985년 까지 「이념의 전환기」, 두 번째 단계는 1985년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로「현대미술의 실험시기」, 세 번째 단계는 199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로 「중국적 현대미술의 실험과 국제화시기」라고 부를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국내에 구체적인 내용으로 알려지지 않았던 30여 년간의 주요 경향과 이념들을 고찰하고 최근의 변화를 기술하였다. 특히 ``개혁개방 이후 중국화`` 에 있어서 전통적 시각의 변화를 중심으로 문화대혁명시절 자취를 감추었던 청대 말엽 민국초엽의 작가들에 대한 새로운 복권운동을 비롯하여, 루어중리羅中立를 기점으로하는 중국적사실주의를 살펴본다. 개방과 함께 시도된 중국의 사실주의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뿌리를 두고있지만, 신고전주의의 경향으로 전환하였는가하면, 1990년대 이후로 접어들면서 하이퍼리얼리즘이나 새로운 형상성의 신표현주의, 아방가르드적인 형식을 취하면서 중국현대미술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청년세대의 대반란``에서는 루어중리가 80년대의 새로운 사실성에 대한 자각과 새 지평을 열어 보인 계기를 이룬 장본인이라면, 중국식 아방가르드사조로서의 대반란에 불을 당긴 대표적인 사조를 살펴보고 ``신형상의 새물결``에서는 ``새로운 형상`` 운동으로서 ``Post-Pop``에서부터 신표현주의 적인 경향에 이르면서 대다수가 중국식사실주의로 천착되지는 작가들을 살펴본다. ``혼합매체와 행위의 새 물결``에서는 설치분야에 있어서 새로운 물결을 고찰하며, 최근 급격히 팽창하는 중국현대미술의 국제적인 위치와 추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最近30多年, 中國芸術界之變化可以分爲三個階段. 第一階段, 是爲自1976年4人幇肅淸之後到1985年爲止的「理念轉變期」: 第二階段, 是爲自1985年到l990年代初的「現代美術之試驗時期」:第三階段, 則是從1990年代初到現代, 可稱爲「中園特色現代美術之實驗與國際化之時期」。 在此硏究中, 特別探討其間在國內未有具體介紹過的30多年的主要趨勢和理念, 進而敍述最近的變化。 尤其, 在於「改革開放以來的中國畵」的以傳統論点之變化爲主, 不但把在文化革命時代以消失的淸末民初畵家的新復權運動, 同時還加以探討羅中立爲起点的中國寫實主義。 隨者開放開始的中國寫實主義, 雖其根源在於社會主義的寫實主義, 但以後轉變爲新古典主義之情形, 再者, 進入1990年代之後, 因採取「超寫實主義」或 「新形象性之新表現主義」。 或者取「前衛美術」之形式, 而단任中國現代美術之核心地位。 在於「靑年世代之大叛亂」, 若由羅中立是個흔起對在80年代的新寫實性之自覺, 병打開新眼界的畵家, 更進一步探討對以中國式前衛芸術思潮的大反亂引渡的代表思潮。 령外, 對於新形象之新風」, 擬探討從以「新形象」運動之「Post Pop」臨到新表現主義傾向時, 是否大多數位於中國特色寫實主義的畵家。 至於「混合媒體與行爲之新風氣」, 探討在裝置芸術方面之新風氣, 同時對最近急速擴大的中國現代美術之國際上的地位和趨勢加以硏究.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