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7.81.32
18.227.81.32
close menu
KCI 등재
다이쇼시대 안데르센동화 일러스트레이션-일본에서 번안된 안데르센동화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 연구(2)-
Illustrations of Andersen`s Fairy Tales during the Taisho Period -A Study on the Illustrations of Andersen`s Fairy Tales Adapted to Japanese Picture Books (2)-
사카베히토미 ( Hitomi Sakabe )
조형미디어학 19권 1호 333-339(7pages)
UCI I410-ECN-0102-2016-650-00070329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일본 다이쇼시대에 출판된 안데르센 동화의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하여 그 특색을 밝힘으로써 동양이 근대화 과정에서 서구 문물을 받아들인 과정을 조명했다. 다이쇼 중후기 안데르센 동화 일러스트레이션을 유럽에서 출판된 일러스트레이션과 비교분석한 결과 규명된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다이쇼 중기에는 주인공은 동양인으로 표현하지만 후기에는 서양인으로 표현하고 장소 및 복식 등에서도 이야기의 이국적 배경을 드러냈다. (2) 후기에는 토속적이고 전통적인 모티브가 등장했다. (3) 표현 방식에 있어서는 빛과 공간감을 표현하는 서구의 방식과 공간을 완전히 평면화하고 단일한 색면으로 표현하는 전통적 방식이 공존했다. (4) 일본 일러스트레이션에서는 고채도, 중저명도의 강렬한 원색을 주로 사용하고 유럽 일러스트레이션에서는 중저채도, 고명도 한색을 주로 사용하여 색채사용에 있어서 경향 차이를 보였다. (5) 다이쇼 시대에는 서구식 표현방식과 소재들을 받아들이면서도 전통적 미감을 계승하고 조화시킴으로써 동시대 유럽 일러스트레이션과 차별화되는 독특한 일러스트레이션이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llustrations for Andersen’s fairy tales that were published during the Taisho period. It do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llustrations of Andersen’s fairy tales in Japanese and European book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In the middle of the Taisho period, the characters were drawn as Asians, but in the late Taisho period, the subject matters, such as the location and clothing followed a more Westernized style. (2) In the late Taisho period, folk-like and traditional motifs appeared. (3) Two different methods of expression coexisted: The Westernized depiction, such as light and the development of perspective, and the influence of Japanese traditional art, such as the use of clear colors in a flat, opaque and two-dimensional manner. (4) Japanese illustrations presented a great contrast to the European ones in color use. Japanese illustrations used vivid primary colors, but in European illustrations, light and cold colors were mainly used. (5) A unique illustration style emerged in the Taisho period by adopting the Westernized expression method and subject matters, but it also kept the traditional aesthetic sense.

1. 서론
2. 다이쇼시대와 어린이 책
3. 안데르센 동화 일러스트레이션 분석
4. 결론
5.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