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88.12.24
18.188.12.24
close menu
}
KCI 등재
크베타 파코브스카(Kveta Pacoveska)의 모양놀이 그림책을 통한 유아의 창의 표현 효과
A Study on the Children`s Creative Expression Effect of Kveta Pacoveska Play-Shaped Picture Book
신지영 ( Ji Young Shin )
조형미디어학 19권 1호 181-189(9pages)
UCI I410-ECN-0102-2016-650-00070315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 사례연구를 통해 유아의 창의 표현 증진에 효과적인 방안을 살펴 보제고자 한다. 이에 유아의 창의 표현 증진의 매체로 크베타 파코브스카 모양놀이 그림책을 활용하여 실증연구 하였다. 그 방법으로는 창의적 표현 연구 실증 분석 도구인 프로젝트 스펙트럼의 시각예술영역 부분의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실험조사 하였다. 실험결과 크베타 파코브스카 모양놀이 그림책을 감상하기 이전보다 감상이후 시각예술영역 부분의 평가기준 수치가 상승 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중 예술성수준이 표상수준과 탐색수준 보다는 조금 더 높은 차이를 보였다. 이처럼 파코브스카의 모양놀이 그림책은 예술적 호기심이 민감한 시기 유아의 창의표현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모양놀이 그림책에 표현된 단순한 이미지의 실루엣 모양과 풍부한 색채, 자유로운 화면구성, 다양한 재료등의 독특한 시각 표현특징들이 유아에게 창의적 시각 경험을 하게 한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고려된다. 그러므로 파코브스카의 모양놀이 그림책과 같이 유아의 창의표현 중진에 긍정적 효과 이끌어 낼 수 있는 창의활동 도구로서의 그림책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사용되어 졌으면 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ome effective ways in promoting preschooler``s creative expression by investigating some picture book cas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mpirically studied such ways by utilizing Kveta Pacovska``s shape-play picture books as the medium of promoting preschooler``s creative expression. As the method, this study applied the evaluation criteria for visual art field under the project spectrum, as a tool for empirically analyzing results of studying creative expressions. As the results of experiment, this study could find that the preschooler subjects`` scores in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visual art field became higher after appreciating Kveta Pacovska``s shape-play picture books than before appreciating them. Among the all evaluation fields, the preschooler subjects showed somewhat higher score in the artistry level than the scores in the symbol level and the exploration level. As seen in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Pacovskas shape-play picture books affected positive influence on promoting preschooler``s creative expression, and it was considered that this finding was driven from preschooler subjects`` creative visual experiences on simple-imaged silhouettes and patterns, rich colors, free composition of picture and various materials being used in the picture books. Therefore this study hopes that more studies about picture books as a tool for promoting preschooler``s creative activity to induce positive effects in promoting preschooler``s creative expression like Pacovska``s shape-play picture books would be actively conducted and such picture books would be actively used, too.

1. 서론
2. 크베타 파코브 스카의 그림책
3. 유아의 창의성과 파코브스카의 모양놀이 그림책
4. 유아의 창의표현 효과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