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2
18.97.9.172
close menu
Accredited
1882년 왕세자 척의 혼례 관련 왕실음식발기 연구
A Study on the Crown Prown Prince Chuck(척)`s Wedding Cefemony related Royal Palace Cuisine Lists(Eumshik Bal`gi) in 1882
주영하 ( Young Ha Joo )
고문서연구 vol. 48 337-371(35pages)
UCI I410-ECN-0102-2016-900-000712794

본고는 1882년 왕세자 척의 초간택·재간택·관례의 상차림을 적은 왕실음식발기에 대한 연구이다. 필자는 관련 네 점의 왕실음식발기의 서지사항과 음식상을 받은 사람, 그리고 참석자가 받은 음식상의 구성 등에 대해서 분석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간택 때 이미 왕세자 척의 왕세자비가 결정되었을 가능성이다. 재간택의 상차림을 적은 왕실음식발기에 ‘아기씨주물상+처자상육상’과 ‘아기씨진지상+진지육상’이 나오기 때문이다. 둘째, 초간택과 재간택 때 참여한 처자들의 상차림은 진지상으로 구성되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왕을 비롯한 다른 참석자의 상차림은 약식의 잔칫상이었다. 셋째, 조선왕실의 행사에서는 주인공에게 가장 성대한 음식을 차려준다는 사실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왕실음식발기에 대한 연구방법 몇 가지를 확인했다. 첫째는 동일한 행사와 관련된왕실음식발기를 한 묶음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는 ‘의궤’나 ‘등록’에 기록된 동일한행사의 왕실음식발기만을 추려서 연구하는 방법이다. 이 연구는 ‘의궤’나 ‘등록’에 기록되지 않은 참석자·상차림·음식 등을 왕실음식발기를 통해서 재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셋째는 행사의 성격과 관계없이 연도별 혹은 왕대별로 왕실음식발기를 정리하고 내용을 분석하는 작업이다. 이를 통해서 왕실 행사에서 차려진 시기별 음식 종류와 변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조선왕조 왕실음식과 관련된 문헌들 대부분은 실제로 행해진 상차림과 요리법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왕실음식발기는 참석자에 따른 상차림과 음식 종류를 명확하게 기록해 둔 문서이다. 향후 장서각 소장의 문서는 물론이고 경상대학교 문천각 소장의 문서, 개인소장의 문서들까지 포함하여 왕실음식발기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적어도 고종연간과 대한제국 시기, 그리고 일제 강점기의 왕실과 황실의 음식문화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a research about the table settings of two steps of “Gantaek” (揀擇, the selection process for the crown princess) and “Gwanrye” (冠禮, Coming-of-Age Ceremony) of the Crown Prince Chuck (石) in 1882 in the Joseon royal palace “Eumshik Bal’gi” (飮食發記/飮 食件記, palace cuisine list).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Crown Princess of the Crown Prince Chuck (石) was already chosen during the period of “Cho Gantaek”(初揀擇, the first selection process the crown princess). It is because the words appeared on the list of table settings of “Jae Gantaek”(the second selection process for the crown princess) in “Eumshik Bal’gi”; “Agissi jumulsang”(阿只氏晝物床), table for the crown princess), “Cheojasang yuksang”(處子床六床, tables of six ladies), “Agissi jinjitsang” (阿只氏進支床, dinner table for the crown princess), “Jinjitsang yuksang”(進支床六床, dinner table for six ladies). Second, the tables served for the candidates of three steps of “Gantaek” were “Jinjitsang”(a dinner table), while the tables for other attendees including the King, were simple “Janchitsang”(a banquet table). Third, it is confirmed that it had provided the most rich cuisine to the hero or heroine in the events of Joseon royal palace. I found out three research methods for “Eumshik Bal’gi” through this present research. First, it is necessary to study same events together in a group in different versions of “Eumshik Bal’gi”. Second method is selecting same events in “Eui’gwe”(儀軌, ritual protocol manuals specifically created for banquets) or “Deung’rok”(謄錄, Journal of recordings) and researching about them. This method of study has an advantage that reconstruct participants, table settings, and cuisine lists which were not mentioned on “Eui’gwe” or “Deung’rok”. The last method is arrang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Eumshik Bal’gi” by year or by eras of kings, regardless of the types of events. Through the research, we can reveal the food types were set during the royal palace events and their alteration tendencies by period. A majority of literatures about Joseon royal palace cuisine, are the repositories of table settings and recipes were actually practiced in the past. Especially, “Eumshik Bal’gi” is the articulated list of table settings and cuisine by participants. It would be possible to concretely unveil royal and imperial palace cuisine, during the King Gojong era, Korean empire government period and period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f we comprehensively study literatures at The Jangseogak Archives(藏書閣, Old Document Library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Muncheon-gak(文泉閣, Old Document Library a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and some private collections.

Ⅰ. 머리말
Ⅱ. 왕실음식발기의 연구사
Ⅲ. 임오 정월 십오일 초간택시 진어상 빈상처자상 건기(壬午 正月 十五日 初揀擇時 進御床 賓床 處子床 件記)
Ⅳ. 임오 정월 십팔일 재간택 진어상 빈상 처자상발기(壬午 正月 十八日 再揀擇 進御床 賓床 處子床 發記)
Ⅴ. 임오 정월 천만세 동궁마마 관례시 어상 발기 및 임오정월천만세동궁마마가례시어상기(壬午正月千萬世東宮媽媽嘉禮時御床記)
Ⅵ.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