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북 부안의 전주최씨 종중에서 1389년(창왕 1)에 최광지에게 발급된 문과 홍패가 한 점 발견되었다. 이 문서는 당시에 발급된 진본으로 판단되고, 이 문서보다 앞서 발급된 고려시대의 홍패들과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본고에서는 이 홍패가 ‘王旨’ 양식이었을 것으로 추정하였고, 공민왕대에 명에서 내려준 ‘高麗國王之印’이 선명하게 찍혀 있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향후 이 문서는 고려말과 조선초라는 왕조 교체기의 제도사적 변화를 살펴보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려말과 조선초의 과거 제도, 문서 제도, 왕권 문제 등을 다룰 때 이 홍패를 통해 다양한 논의가 펼쳐질 수 있을 것이다. 조선이 개국하기 3년 전에 발급된 홍패가 이미 관문서에서 왕명문서 양식으로 바뀐 점, 기존의 홍패와 달리 지공거와 동지공거에 대한 기재 사항이 문서에서 사라진 점, 고려말의 왕명문서가 이미 조선시대 왕명문서의 전형적인 모습을 갖추고 있는 점 등 중요한 논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사료로 평가된다.
Recently, one original Hongpae which had been issued to Gwang-Ji Choi in 1389 was found in the clan of Jeonju Choi in Buan, North Jeolla Province. This document is decided as the original copy issued at that time and it is characterized to be different from the other Hongpaes issued in Goryeo period, which is remarkable. In this article, this Hongpae was assumed to be prepared as the document type of Wang-Ji, and emphasized with the clear print of Goryeo-Guk-Wang-Ji-In, ‘Seal of Goryeo King’ from Ming in the period of King Gongmin. This document is anticipated further to be utilized as the important data to understand the systemic changes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end of Goryeo to the early Joseon. With this Hongpae, a variety of discussion can be performed to deal with the systems of the state examination, documentations, and sovereignty issues, etc. This might be the historical record to raise the discussion on the points that Hongpae issued 3 years before the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had been changed from the official document into the King’s order, the descriptions on Ji-gong-geo and Dong-ji-gong-geo were missed in the document unlike the existing Hongpae, and the document by King’s order in the end of Goryeo had already had the typical type of the King’s order in Joseon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