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5
18.97.14.85
close menu
Accredited
언론보도에 반영된 지방정부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소나무재선충병 사례를 중심으로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of the Local Government: A case of the Pine Wilt Disease
이서현 ( Seo Hyeon Lee ) , 고영철 ( Young Churl Ko )
UCI I410-ECN-0102-2016-070-000711238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재선충병과 관련하여 경남, 경북, 제주의 지역일간지에 반영된 지방정부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살펴보았다. 먼저 소나무재선충병과 관련하여 어떤 프레임으로 보도되었는지를 살펴본 결과, 모든 지역에서 예찰방제 프레임이 높게 나타났으며, 안일대처 프레임과 자화자찬 프레임에서만 지역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직접인용구 정보원은 모든 지역에서 지방정부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가운데 경남에서는 일반인과 전문가, 제주에서는 도의원과 일반인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지방정부의 설득적 방어 전략은 모든 지역에서 시정조치 전략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시인 전략과 동원 전략도 비교적 많이 등장했다. 이해당사자의 설득적 공격 전략은 경남에서는 소나무재선충병 위기의 심각성이 가장 부각되었던 반면, 경북과 제주에서는 행위에 대한 책임성을 강조하는 내용이 많이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지방정부의 대처는 근본적인 원인 규명이 부재한 상황에서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한 단편적 대응에 주력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has intended to analyze how the Gyeongnam, Gyeongbuk and Jeju region media have reported the Pine Wilt Disease using which frames, and which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the local government and related parties have used. Firstly, the report frame displayed a generally high exposure of forecasting and preventative frames, which display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complacency measure frame and self-praise frame. Second, the self-citation information source displayed a high proportion in the local government in the regions of Gyeongnam and Gyeongbuk, whereas the proportion of related parties, such as provincial parliament members in Jeju displayed a relatively higher proportion. Third, the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of local governments displayed strategies of corrective measures to be the most frequently exposed in all regions, and resident strategies and cooperative strategies was also exposed comparatively frequently. Fourth, the communication strategy of the related parties displayed the most serious of the crisis of the Pine Wilt Disease in Gyeongnam, whereas, such act emphasized responsibility in the Gyeongbuk and Jeju areas.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의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