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3
18.97.9.173
close menu
Accredited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의 문제음주와 우울 및 자살생각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 of Problem Drinking, Depressive Mood,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Workers
최혜금 ( Hae Keum Choi ) , 이현경 ( Hyun Kyung Lee )
UCI I410-ECN-0102-2016-510-00071021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의 문제음주 특성과 문제음주가 우울여부에 미치는 영향 및 자살생각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의 사회경제적 특성별 우울여부 및 자살생각여부에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하고, 문제음주별 우울여부 및 자살생각여부에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하고, 문제음주가 우울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문제음주가 자살생각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대상에 사용된 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13년도 원자료이며, 연령대상은 20세~69세, 현재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취업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응답자의 수는 2,876명(남자 1,505명, 여자1,371명)이며, 경제활동인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음주특성, 우울여부, 자살생각여부 등의 변수를 선정하여 경제활동인구의 문제음주와 우울 및 자살생각과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방법은 X2-test, Logistic Regression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 특성 및 직업 특성은 우울여부와 자살생각여부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알코올남용의존군에서 우울있음은 10.4%였고, 자살생각있음은 6.3%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음주가 우울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경제적 특성 및 직업특성 등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였을 때, 정상음주군에 비해 알코올남용의 존군에서 우울을 경험할 위험이 약 2.6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넷째, 문제음주가 자살생각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경제적 특성 및 직업특성 등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였을 때, 정상음주군에 비해 문제음주군에서 약 1.5배더 높은 자살생각의 위험이 있었으며(p<.05), 정상음주군에 비해 알코올남용의존군은 약 2.6배 더 높은 자살생각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결론 :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의 문제음주 양상은 심각하며, 문제음주가 우울에도 영향을 주며, 자살생각에도 영향을 주는요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정신건강 문제를 사전 예방하기 위해 음주문제 역시 주요하게 다루어 져야 할 정책방향이 되어야할 것이다. 국가가 경제활동을 하는 인구의 정신건강에 더 큰 책임감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적극적으로 지역사회 및 국가단위로 정신건강증진사업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lcohol use on depressive mood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workers. Methods: We analyzed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conducted in 2013. And, for this study, 2,876 individuals were analyze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X2-t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other basic statistics using SPSS version 21.0. Results: Depressive mood rate in alcohol abuse & dependence group was 10.4% in workers and suicidal ideation rate in alcohol abuse & dependence group was 6.3% in workers.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AUDIT (abuse&dependence: OR=2.6, p=0.002) was significantly affected to depressive mood. And,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AUDIT (problem drinking OR=1.5, p=0.047; abuse&dependence: OR=2.6, p=0.000) was significantly affected to suicidal ideation. Conclusion: The findings have reinforced the need for developing a mental health disease prevention program of workers in Korea with a more practical focus on alcohol use and mental health status.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과
Ⅳ. 고찰 및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