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 본 연구는 지역을 분석단위로 하여 지역의 사회·경제·복지적 특성과 지역사회 획득 폐렴 발병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는 219개 시·군·구를 분석단위로 한 단면적 연구이다. 2010년 발간된 제 6차 퇴원손상심층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2009년 발생한 각 시·군·구 지역사회 획득 폐렴 환자 수를 추정하였으며, 지역 간 인구구조의 차이를 성별과 연령을 이용하여 보정하였다. 지역특성은 인구사회학적(고령인구비율, 65세 이상 인구, 인구 10만 명당 결핵 환자 수), 경제적(인구10만 명당 기초생활 수급자 수, 지역별 1인당 연간 보험료), 그리고 복지적(독감예방접종률, 인구 10만 명당 사회복지시설)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변수를 선정하였다. 분석은 다변량 회귀분석(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와 공간분석방법인 지리적 가중회귀분석(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을 이용하였으며, 통계분석을 위해 SAS ver. 9.3과 ArcGIS ver. 10.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 OLS 회귀 분석 결과에서, 인구 10만 명당 기초생활 수급자 수와 고령인구비율이 인구 10만명 당 지역사회획득 폐렴 환자수와 유의미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 GWR을 적용한 결과 OLS 분석에서 산출된 회귀계수와 GWR로 산출된 국지적 회귀계수들 사이에 차이가 있었으며, 그리고 지역에 따라 회귀계수에 차이가 있었다. 결론 : 폐렴 발생과 관련된 지역수준의 요인의 영향 정도에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에서 사용한 지역변수 이외의 변수를 추가하여 폐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좀 더 지역 상황에 맞는 세부적인 정책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is the most frequently occurred infectious disease in Korea, and previous studies analyzed the occurrences of CAP were mainly focused on the personal level.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regional variation of CAP occurrence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AP occurrences and regional factors using spatial analysis method. Methods: Cross sectional study design was applied with data collected from the 219 city gun(county in Korean)·gu(district in Korean) administrative regions in South Korea.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Survey (NHDIS) in 2009 provided b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was used to identify the CAP occurrences in regions, and its rates were standardized with sex and age of population in the regions.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and Community Health Survey (CHS) were used to identify the regional variables in 2009. Ordinal Least Square (OLS) regression an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were applied to identify their effect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SAS ver. 9.3, and ArcGIS ver. 10.0 was used for spatial analysis. Results: OLS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basic livelihood recipients per 100,000 population and the proportion of elderly popul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standardized CAP patients per 100,000 population. Results from GWR showed that the directions of coefficients were varied depending on regions.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social·economical·welfare status of the regions may not have consistent effects on the occurrences of CAP.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with the additional variables representing regional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