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90
18.97.14.90
close menu
Accredited
가사문학의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
The Value of "Gasa" as a Resource of Culture-Tourism
고순희 ( Soon Hee Ko )
UCI I410-ECN-0102-2016-810-000708880

이 연구의 목적은 가사문학이 지닌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규명하는 데 있다. 먼저 규방가사를 중심으로 ‘가사 짓기의 문화’가 지니는 문화적의미를 살폈다. 양반가 여성의 ‘가사 짓기의 문화’는 ‘인문학적 정신의 생활화’라는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글쓰기의 생활화’는 현대인이 잃어버린 소중한 정신적 가치이다. 가사문학이 지닌 정신적 가치를 계승 발전시킨다면 우리 민족성에 대한 긍지를 높일 수 있다. 그리하여 가사문학은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다음으로 가사문학이 관광의 키워드인 ‘장소’로 환원될 수 있는 가능성이많다는 점을 살폈다. 다양한 작품세계를 지닌 엄청난 수의 가사문학은 각각‘장소’로 환원되어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사문학을 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해보았다. 문화관광자원의 개발은 관광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해 ‘작은 기획’을 필요로 한다. ‘작은 기획’을 통해 지역의 주민이 그 ‘장소’를 우선적으로 즐기고 향유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사문학은 이러한 관광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하여 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아이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Value of Gasa as a Resource of Culture-Tourism’. First, focusing to female Gasa, I investigated the cultural meaning ‘the culture of writing Gasa’. ‘The culture of writing Gasa’ have the cultural meaning which is the ‘daily life of the humanistic spirit’. The ‘daily life of the humanistic spirit’ is a spiritual value which modern peoples has lost. We need to inherite and develop the humanistic spirit of ‘Gasa’, and need to heighten our pride on the ethnicities. Therefore we must positively exhume ‘Gasa’ as a Resource of Culture-Tourism. Secondly, I investigated the point that ‘Gasa’ have the possibility to connect to the ‘place’. The ‘place’ is a keyword of tourism. ‘Gasa’ has various work-worlds, and huge pieces. If ‘Gasa’ connect to the ‘place’, It can help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region. Finally, I suggested the ways to conjugate ‘Gasa’ as a Resource of Culture-Tourism. The resource development of culture-tourism need a ‘little planning’ that response to changes in the tourism paradigm. A ‘little planning’ will make preferentially residents to enjoy the ‘place’. ‘Gasa’ is the best item to conjugate as a Resource of Culture-Tourism thatresponse to changes in the tourism paradigm.

1. 머리말
2. 가사 짓기의 문화 : 인문학적 정신의 생활화
3. 장소로의 환원과 정체성 구현
4.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는성
5.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