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3
18.97.9.173
close menu
Accredited
철학 : 대학생들의 자아 중심적 행복관에 대한 로고테라피적 접근
A Logotherapy Approach to the Egocentric View on Happi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최정화 ( Jeong Hwa Choi )
인문학연구 vol. 51 581-615(35pages)
UCI I410-ECN-0102-2016-000-000708822

본 논문은 두 학기에 걸쳐서 진행된 ‘나는 누구이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관한 대학 교양강좌에서 학생들이 제출한 글과 토론을 자료로 삼아서 대학생들의 행복관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서 현재 대학생들의 자아 중심적인 행복관이 도출된다. 수업에 참여했던 대학생들은 개인적 ‘행복’과 직업적, 사회적 성취를 통한 ‘자아실현’을 삶의 궁극적인 목표로 삼는다. 삶의 목표를 설정하면서 그들이 속한 공동체와 사회에 대한 관심이 결여된 상태로 개인적인 차원의 성실성과 심리문제를 해결하면서 자기계발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빅터 프랑클(Viktor Frankl)이 제안한 로고테라피의 인간학을 도입하여 우리 세대 청년들의 이러한 자아 중심성이 왜 문제가 되는지, 그리고 그러한 행복의 추구가 왜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지 비판적인 의문을 제기한다. 자아에 대한 과도한 관심은 로고테라피의 역설의도와 탈성찰을 통해서 완화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자아 중심성을 넘어서는 치유로 ‘자아초월’로 향하는 대안적인 인간관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is article the results of a survey on the question “Who am I and how should I live” done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are being analyze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involved have a very egocentric understanding of happiness. In order to understand these findings and to find a therapeutical approach suitable to heal the frustrations entailed by this narrow and closed understanding of happiness, the anthropological views of Logotherapy as it was established by the philosopher and psychotherapist Viktor E. Frankl have been taken into special consideration. According to the basic tenets of Logotherapy the problems of hyper-intention and hyper-reflection can be solved by the methods of paradoxical intention and dereflection. In addition, a self-transcendent view of mankind is being proposed as an alternativ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