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김활란의 자서전 『그 빛속의 작은 生命』을 대상으로 자서전에 나타난 김활란의 공적 활동 과정과 방식을 여성주의 시각에서 검토하였다. 해방 이후 대표적 여성 지도자로 인정받는 김활란의 행보가 여성의 사회 참여를 끌어내는 데실질적으로 얼마나 기여했는가를 논의하려는 것으로, 공간 지리를 확장하는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해방 이후 여성 지도자의 사회참여 방식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김활란은 금기의 영역인 정치에 참여하기 위해 ‘비정치적’이라는 수사를 동원하여 공간을 공적인 동시에 사적으로 점유하는 이중성을 보여준다. 금기의 영역에 진입하기 위한 ‘공모’라 할 수 있지만 ‘저항’의 장력을 가지 못함으로써 지배이데올로기에 대한 순응을 표현하는 도구적 수사로 사용된다. 김활란은 공적 영역 내부에 감성과 섹슈얼리티를 동원한 여성 정치를 재구축함으로써 젠더 규율을 준수하는 한편 국가주의 이데올로기에 의탁한 권위적 복종과 위계적 체계를 활동의 연대인 자매애에 구조화하고 있다. 정치 영역 내부에 남성과 다른 여성- 정치를 하위체계로 구성하고 젠더 정치를 실행했던 것으로 그러한 점에서 그것은 지배 체제와의 협력을 도모하는 하위 주체의 ‘조력 활동’이라 할 수 있다. 결국 김활란의 사회 활동은 억압적 경계/질서를 성찰하고 공적 활동의 경계를 새롭게 구축한, 진정한 의미에서 사회 참여 활동은 아니었으며 이후 한국 여성의 사회 활동의 성격을 제한하는 부정적 기여를 하게 된다.
This Study tries to reveal the way of Women``s social activities in Helen Kim``s Autobiography A little life in the light.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clarifying actual contribution of Helen Kim,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women leader after independence from Japan, in enhancing the Korean women``s public activities by Analyzing her way of expand public border. In order to enter the political territory, she showed duplicity, occupying area in official and private, using a rhetoric of ``non-political``. That can be understand as a conspiracy to enter the taboo territory in first. But It was used as a tool to express the rhetoric conform to the dominant ideology, Because there was no resistance forces. She rebuilt female political territory mobilizing emotions and sexuality in internal public area. A oppressive gender political territory structured the authoritarian and hierarchical obedience. She constituted political sub-territorial systems in internal politics different from that of men``s, called ``support activity``. After all, Helen kim``s social activity was not social participation in the true sense. She did not critically reflect on the boundaries and repressive discipline to build a new public border activities for korean wo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