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8
18.97.14.88
close menu
Accredited
중국의 대중동 외교정책: 목적과 도전
China`s Foreign Policy Towards the Middle East: Trends and Challenges
김일수 ( Ilsu Kim ) , 마나르모하이센 ( Manar Mohaisen )
DOI 10.35820/JMCS.17.2.10
UCI I410-ECN-0102-2016-910-000735104

역사적으로 중동지역은 미국이나 중국에게 중요한 지역으로 남아있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미국은 중동지역에서 영향력을 유지하는 정책을 추진해 왔다. 중국은 중동지역에 대해 주로 ‘정치적인 비관여’와 ‘중립’적인 외교노선을 추구해왔다. 이러던 것이 중국이 점차 G2 국가로 부상하면서 중동지역에서 점차로 자국의 군사ㆍ경제ㆍ정치적 이익을 확대하고 있다. 이 논문은 중국의 대 중동정책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 논문을 통해 중국의 대 중동정책의 목적이 어디에 있는지, 구체적으로 중동지역에서 중국이 추구하는 군사적ㆍ경제적ㆍ정치적 이익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있다. 끝으로 미국이 추진하고 있는 테러와의 전쟁과 중동의 민주화움직임에 대해 중국이 향후 어떠한 입장을 취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분석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중국은 정치적으로 어떤 형태의 정권이라도 자국의 경제적이고 전략적인 이익과 상반되지 않을 경우 중립적이고 비정치적인 접근을 취할 것으로 보인다. 자국의 경제발전을 위해 중동으로부터 석유에 의존해야 하는 중국으로서는 중동의 안정과 평화가 필요하다. 당분간 중국은 중동에서의 큰 변화 보다는 현재의 상황이 지속되는 것을 선호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중국의 국제적인 영향력 상승과 맞물려 중동지역에서 미국과 협력을 모색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In this paper, we address the following issues that shape the Chinese foreign policy in the middle east: 1) Military interests, where we track the military interests of China in the region and the main motives behind it and the position of China on the global war on terrorism, 2) Political aspects with a focus on the long lasting Israeli-Palestinian Conflict, and 3) Economic aspects with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Middle East as an energy import partner, necessary for the Chinese economic development, besides the arm sales to a region witnessing several military conflicts. We conclude that the Chinese relations with the middle east has witnessed a shiftfrom ideology-characterized foreign policy into a more realist foreign policy putting the Chinese national interests at the core. We also conclude that China will continue to pursue its economic interests in the region without direct military involvement, as opposed to the U.S. foreign policy in the region. The military presence might be enforced in to protect the future new silk road, which connects Asia and Europ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