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온라인 사용후기에서 나타나는 속임(기만)글을 탐지하기 위해 한국어 언어분석 프로그램인 KLIWC을 이용하여 기만 탐지자를 발견하고자 진행되었다. 사용후기의 기만 탐지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3개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1과 연구 2는 기만의 기본 속성인 속이고자 하는 의도를 내포하는 기만 사용후기와 진실한 사용후기를 비교하여 기만 탐지자를 찾고자 하였으며, 연구 3에서는 긍정 기만(불만족 제품의 긍정 사용후기)과 부정 기만(만족 제품의 부정 사용후기)에서 나타나는 탐지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KLIWC는 39개의 언어적 지표와 44개의 심리학적 지표를 제공하여 주기 때문에 각 지표별로 기만 사용후기와 진실 사용후기 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3 연구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차이를 보인 언어적 지표는 형태소, 일반명사, 조사이며, 심리적 지표는 감정 또는 정서적 과정, 긍정적인 정서, 긍정적인 느낌, 감각/지각적인 과정으로 모두 기만 사용후기에서 높게 나타났다. 속임 의도를 포함한 연구 1과 연구 2에서 차이를 보인 언어적 지표는 문장, 어절, 형태소, 일반명사, 조사, 일반부사, 어미, 명사추정외래어이며, 심리적 지표는 감정 또는 정서적 과정, 긍정적인 정서, 긍정적인 느낌, 인지적인 과정, 확신, 감각/지각적인 과정, 사회적 과정, 의사소통, 가족, 집, 몸상태와 증상으로 모두 기만 사용후기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지표들은 온라인 사용후기에서 기만 탐지자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iscover deception detectors using KLIWC(korean 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 for detecting deception(faking) in online user reviews. The three studie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deception detectors in online reviews. In study 1 and study 2, we compare deception reviews that imply intention of deception as the basic properties with real reviews in order to find deception detectors. Study 3 was conducted to find which deception detectors are in positive deceptions(positive reviews of unsatisfactory products) and negative deceptions( negative reviews of satisfied products). The differences between deception reviews and real reviews have been explored by each indicator because KLIWC provides independently 39 linguistic indicators and 44 psychological indicators. In all of three studies, it is commonly found that differences of the linguistic indicators between two conditional reviews are morpheme, common noun and postposition, and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indicators are emotional or emotional processes, positive emotions, positive feeling, and feeling/perception process. Using ratios of these variables are higher in the deception reviews than in the real reviews. In Study 1 and Study 2, including deceptive intention, the different linguistic indicators that were found from both of two studies are sentence, syntactic word, morpheme, common noun, postposition, general an adverb, desinence, and estimation of nouns loanword. The different psychological indicators are Emotional or emotional processes, positive emotions, positive feeling, cognitive processes, confidence, sense/perceptual processes, social processes, communicate, family, home, body condition and symptoms. As above, they higher in the deception reviews than in the real reviews. There is possibility that these indicators are deception detector in the online re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