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91.218.186
18.191.218.186
close menu
}
KCI 등재
과학학습에 대한 동기적 신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중학생의 물질 변화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tivational Belief about Learning Sc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atter Change
임성민 ( Sung Min Im ) , 김인환 ( In Whan Kim )
UCI I410-ECN-0102-2016-370-000758425

이 연구에서는 과학학습에 대한 동기적 신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각각 과학 개념 이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인으로 가정하고,이들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학습에 대한 동기적 신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물질 변화에 대한 개념 이해에 대해 기존 연구의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각각 조사하고, 조사한 응답 분포를 바탕으로 이세 변인 간의 인과 관계를 PLS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이 연구에서 설정한 잠재변수인 과학학습에 대한 동기적신념, 자기주도 학습능력, 물질 변화 개념 이해의 측정은 신뢰도와 타당도 면에서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잠재변수들 간의 인과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동기적 신념과 물질 변화 개념 이해에 모두 영향을 미치지만, 동기적 신념은 자기주도 학습능력에만 영향을 미치고 물질 변화 개념 이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과학학습 상황에서 자기주도 학습능력만이 과학 개념 이해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동기적 신념은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과학학습 과정에 관여하는 변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정량적인 방법을 통해서 확인했다는 점과 과학교육 연구 분야에서 PLS 구조방정식모형을 새로운 연구방법론으로써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al belief about learning scien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atter change with a quantitative method, assuming that motivational belief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ight affect conceptual understanding. To do this, the authors investigated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al belief about learning scien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atter change using measurement tool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n analysed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hree variables using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three latent variables in this study could be evaluated as appropriated in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also,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uld affect both the motivational belief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while motivational belief could affect onl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ut not conceptual understanding.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s confirmed that in the context of science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an directly affect conceptual understanding but motivational belief can affect indirect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variables in science learning could be confirmed in a quantitate manner, and also in that it can suggest PLS structural equation method as a new research methodology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area.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