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4
18.97.14.84
close menu
Candidate
기업 생존분석을 통한 네오 러다이트 운동의 지속성에 대한 고찰: 우리나라 상장 ICT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A Study on Persistency of Neo-Luddism through Firm Survival Analysis: Evidence from Listed ICT Manufacturing Corporations in Korea
조승모 ( Seung Mo Cho )
인문사회 21 vol. 7 iss. 1 689-708(20pages)
UCI I410-ECN-0102-2016-300-000764967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ICT 산업에 속한 제조업체들 중 KOSPI 시장과 KOSDAQ 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생존분석을 실시하여, 생산과정의 자동화 정도, 고용규모, 종업원의 질적 수준이 기업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생산과정의 자동화 정도는 노동장비율로, 고용규모는 기말에 측정된 종업원수 합계로, 종업원의 질적 수준은 종업원 1인당 연간평균임금으로 각각 측정하였는데, 이들 세 변수는 모두 독립적으로 기업의 생존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산과정의 자동화가 반드시 고용악화나 임금하락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생산과정의 자동화를 통해 단순노동을 기계로 대체하면서 고급인력의 채용을 늘리는 것은 기업의 생존성을 향상시키는 정책이라 할 수 있다. 기업들이 이러한 정책을 고수하는 한 기업들은 오래도록 살아남아 계속 이러한 정책을 추진하게 될 것이므로, 네오 러다이트 운동은 그 목적을 이루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최소한 우리나라 ICT 제조업계에서는 말이다.

This study has carried out a survival analysis on Korean ICT manufacturing corporations listed either in the KOSPI market or in the KOSDAQ market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production automation, firm employment size, and qualitative level of labor on firm survival. Using the labor equipment ratio, the total number of employees, and the average annual salary per employee as proxies for production automation, firm employment size, and qualitative level of labor respectively, we have found out that these three variables independently enhance firm survival. This implies that production automation does not necessarily worsen employment nor does it reduce wages and that it is a firm-survival-enhancing policy to replace low-skilled labor with production automation and additionally hire high-skilled labor. As long as firms stick to this policy, they will survive longer and as long as they survive, the policy will persist. Thus, neo-Luddism does not seem to have bright prospects at least in the Korean ICT manufacturing industry.

Ⅰ. 서론
Ⅱ. 방법론
Ⅲ. 변수 및 데이터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