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3
18.97.14.83
close menu
Candidate
가계부채와 가계소비간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Household Debt and Household Consumption
최은영 ( Eun Young Choi )
인문사회 21 vol. 7 iss. 1 673-688(16pages)
UCI I410-ECN-0102-2016-300-000764952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KLI)의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가계부채와 가계소비의 상관관계를 SUR모형의 연립방정식 형태로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계소비의 확대로 인해 가계부채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며, 가계는 차입(대출)으로 인해 가계소비를 지출할 유인이 있다. 둘째,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고소득계층과 고소비계층에 집중되어 있다. 셋째, 가계부채는 가계소비뿐만 아니라 가계의 근로소득과 실물자산의 영향으로 증가하며, 가계소비의 증가는 근로소득이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고, 가계소비의 확대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가계의 소득향상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가계부채와 가계소비가 개별적 차원이 아닌, 상호 연결된 정책적 문제로 인식해야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correlation between household debt and household consumption in South Korea was estimate based on an SUR-model simultaneous equation by using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conducted by Korea Labor Institute. The result suggested that, first, increase of household consumption can lead to increase of household debt, and households has an incentive for household consumption as a result of borrowing(loan). Second, household debt in South Korea is concentrated on the high-income and high-consumption classes. Third, household debt increases not only because of household consumption but also because of increased earned income and real assets, and earned income is a critical cause of increased household consump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improving household income in order to resolve issues with household debt and expand household consumption in South Kore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to help prepare relevant policy by connecting household debt and household consumption.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모형
Ⅲ. 자료와 추정방법
Ⅳ. 실증분석의 결과
Ⅴ. 결 론
【 참고문헌 】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