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4.146.56
3.144.146.56
close menu
}
KCI 등재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위한 중국 손짓언어 인지능력 평가연구
A Study about Cognition Competence Evaluation of Chaina`s Hand Language for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tion
이노미 ( No Mi Lee )
UCI I410-ECN-0102-2016-330-000764121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의 중국 손짓언어 인지능력을 측정, 평가함으로써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흔히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언어적 측면만을 강조하여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수반되는 비언어 메시지의 중요성이 간과됨으로써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한 문화갈등이 증폭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손짓언어는 메시지 해석 오류의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체계화된 교육과정의 훈련 없이는 인지과정의 태도변화를 조정하기 쉽지 않은 까닭에 인지능력개발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중국 손짓언어에 대한한국 대학생들의 인지능력을 검토한 결과조사대상자의 72.8%가 매우 저조한 주변형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동작유형별 인지능력에 있어 정보제공동작과 다중손짓언어, 개체손짓언어의 인지율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그 외 중국어 수준과 중국체류기간, 비언어 학습경험이 중국 손짓언어 인지능력의 주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중국손짓 인지능력 향상의 문화 간 비언어커뮤니케이션 훈련의 교육적 가치를 고양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produce base data to search the educational methods of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by measuring and evaluating Korean college students’ ability to recognize Chinese hand language. In most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only linguistic aspects are emphasized and the importance of nonlinguistic messages that accompany them is disregarded, amplifying the cultural conflict due to nonverbal communication. Especially, hand language has high possibility of misinterpreting the message so it is hard to change cognitive process without systematic training through education course. So the education to develop cognitive ability to recognize hand language is regarded important.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reviewed Korean college students’ ability to recognize Chinese hand language.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72.8%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at a very low Isolation level. In terms of cognitive ability depending on gesture types, the recognition rate of information-providing gesture, multiple hand language, and traditional hand language marked significantly low, and the subjects’ level of Chinese, duration of stay in China, and nonlinguistic learning experience turned out to be main factors in the ability to recognize Chinese hand language. This study is believed to provide base data required for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al methods to improve the cognitive ability to recognize Chinese hand language.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2.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분석
5. 결론적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