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균의 「대승사론현의기」 권제11은 「개로의」·「십사음의」·「사실단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전해지지만, 11권 전체가 현재 일실본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그 실태의 파악은 거의 불가능하였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십사음의」가 일본 천태밀교승 안연이 찬술한 「실담장」에서 상당부분 인용되고 있음을 최근 발견하였다. 안연은 일본의 천태밀교를 대성한 인물이다. 그는 당시 일본불교에서 널리 사용되었던 오음 전파와 확산의 주동자로서 ‘김[김예신]’을 밝히면서, 그 이전 시대의 혜균의 「대승사론현의기」 권제11 「십사음의」의 내용을 인용하고 있다. 안연이 「실담장」에서 혜균의 「십사음의」를 인용해야만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었다. 즉 일본 실담학의 근간이 오음이었으며, 이오음은 고대일본의 원어민이 쓰고 있었던 화음과 더불어 현재의 일본어를 있게 한 중요한 기틀이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일본의 언어적 기틀을 마련했던 오음의 시원적 근거이며, 일본 실담학의 하나의 근간이 될 수 있는 혜균의 「대승사론현의기」 권제11 「십사음의」 부분을 결집하여 부록을 통해 소개하였다. 이를 통하여 「십사음의」가 「대승사론현의기」 권제11에 복원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It is believed that Volume 11 of the Daeseung saron hyeonui gi, written by Hyegyun, originally consisted of three sections: Geroui, Sipsaeumui and Sasildanui. However, it is impossible to know exactly the content of the full version because it no longer exists. Fortunately, it was recently discovered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section Sipsaeumui was quoted in Annen’s Shittanzo. Annen was an esoteric Tendai Japanese monk and a significant figure in Japanese esoteric Tendai Buddhism. Annen cited a man named Kim [Kim Ye-Sin] as the leader who spread Japanese GO-On (吳音) in Japan, and Annen also referred to Daeseung saron hyeonui gi in his book Shittanzo. Buddhism flourished in Japan during the 8th and 9th centuries, a period referenced in GO-On texts that are cited in Volume 11 of Daeseung saron hyeonui gi. In other words, Sipsaeumui is based on GO-On. GO-On contributed to formation of the modern Japanese language as much as WA-ON (和音) did, a dialect spoken by the ancient Japanese. That is one reason Annen cited Hyegyun’s Sipsaeumui in his Shittanzo. Also, in studies of Japanese siddham, GO-On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foundation.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centrations of appendix to Volume 11 of Daeseung saron hyeonui gi cited in Annen’s Shittanzo, which is the primary basis of GO-On and the linguistic foundation for Japanese siddham studies. My hope is that the original content of Sipsaeumui may be recovered through this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