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이버상담을 하는 사이버상담자들의 심리적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 사이버상담을 2년 이상 경험한 총 12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2013년 11월부터 2014년4월까지 6개월에 걸쳐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인터뷰 자료에서 얻은 축어록을 연구자를 포함한 합의팀 3명과 1명의 감수자가 Hill, Thompson과Williams(1997)의 합의적 질적 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6개의 영역과 37개의 범주가 도출 되었다. 본 연구에서 첫째, 사이버상담에 대한 동기 및 기대는 안정성, 다양성, 용이성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사이버상담 과정에서의 경험은 크게 유능성 경험과 어려움 경험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사이버상담자로서의 성장을 위한 노력으로는 청소년상담 능력 및 정보 함양, 상담자의 유능감 향상, 상담자의 지지자원 활용, 사이버 상담 체계의 특수성 인식에 대한 내용이 결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이버상담자에 대한 경험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이후 사이버상담자를 교육하는 관련자들과 추후 입문하는 사이버상담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있을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unselors who counsel adolescents via the internet.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13 to April 2014 for a period of six months with 12 counselors who have counseled adolescents for more than 2 years. Three people including researchers as a team and one proofreader analyzed the recordings from the interview according to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developed by Hill, Thompson and Williams. As a result, 16 fields and 37 Categories were defined. In the study, first of all, motivation and expectation about cyber counseling was classified under reliability, versatility, and ease of use. Second, the experience of the cyber consultation was classified under mainly a capable experience or a difficult experience. Third, the result of the effort for growth as a cyber counselor was produced as adolescent counseling skills and information development, improvement of a counselor``s capability, a counselor``s supported resource use, the contents about distinct awareness of the cyber counseling system. This study will be a useful resource for those who will educate cyber counselors in the future and those who will start counseling via the internet in the circumstances of lack of experience in research about cyber counsel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