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2
18.97.9.172
close menu
Accredited
중학생의 또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에 대한 지각된 또래지지의 매개효과
A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Peer-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tress and School Adapt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김민정 ( Min Jeong Kim )
DOI 10.21509/KJYS.2016.02.23.2.101
UCI I410-ECN-0102-2016-330-000771779

본 연구는 상황에 대한 해석이 적응을 설명한다는 이론을 토대로, 중학생의 또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또래지지에 대한 지각이 매개효과를 가질 것을 가정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라 대인관계가 갖는 의미가 상이함을 근거로 성별을 구별하여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15년 3월부터 4월까지 약 3주간 경기도에 소재한 3개 중학교에서 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410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19부를 제외한 총 391부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한 매개효과를 검증 방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또래지지가 또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를 매개했으며, 성별에 따라 남학생의 경우는 완전매개, 여학생의 경우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또래 스트레스로 인해 학교적응이 어려움을 호소하는 중학생을 도울 때 또래지지에 대한 지각에 개입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여학생의 경우는 또래스트레스 자체에 대처하도록 개입을 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Based on the theory that how one apprehend a situation explains one’s adaptation, this study analysed a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peer-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tress and school adapt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Furthermore, this study predicted gender difference in mediating effect because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s different meaning in different gender groups. To collect data, students from three middle schools in Kyoungki-do completed questionnaire for 3 weeks in March and April, 2015. Four hundred and ten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nineteen were inappropriate for analysis, therefore three hundred and ninety-on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est for mediating effect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reseach questions.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peer-suppor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tress and school adaptation. Specifically, complete mediating effect for male students and partial mediating effect for female students were found. The result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one perceives his/her peer-support to help students with problems in school adaptation due to peer stress. Plus, for femal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peer-stress itself.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