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18.98.111
18.218.98.111
close menu
}
KCI 등재
10~18개월 영아 어휘력 발달의 종단연구: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기질을 중심으로
Longitudinal study on vocabulary development of infants aged 10 to 18 months: Centering on infants` communicative gestures and temperament
신애선 ( Ae Sun Shin ) , 김영실 ( Young Sil Kim )
유아교육연구 36권 1호 273-295(23pages)
UCI I410-ECN-0102-2016-370-000771624

본 연구에서는 10~18개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기질 및 어휘력 발달 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10~18개월(T1)인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기질 및 어휘력을 검사하였고, 1년 뒤인 22~30개월(T2)일 때 어휘력을 재검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T1에 비하여 T2에는 영아의 이해어휘의 비율은 낮아지고 표현어휘의 비율은 높아져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전체적으로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 빈도와 T1 및 T2의 이해어휘 및 표현어휘 수는 상관이 있었다. 셋째, 영아의 기질과 T1 및 T2의 이해어휘 및 표현어휘 수는 상관이 있었다. 전체적으로 T1과 T2 모두 접근-회피의 점수가 낮을수록, 반응강도 점수가 높을 수록 어휘수가 많았다. 넷째, T1과 T2에 대한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 및 기질의 어휘력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이해어휘는 T1과 T2 모두 관습적 몸짓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표현어휘는 T1은 관습적 몸짓이 높았고 T2에서는 표상적 몸짓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longitudinally the relation among communicative gestures, temperament, and vocabulary development of infants aged 10 to 18 months. To this end, communicative gestures, temperament, and vocabulary of infants aged 10 to 18 months(T1) were examined, and 1 year later, when they turned 22 to 30 months(T2), their vocabulary was re-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1, in the case of T2 the percentage of infants`` receptive language got lower, while the percentage of infants`` expressive language got higher. Second, in general,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infants`` communicative gestures and the number of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of T1 and T2. Thir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infants`` temperament and the number of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of T1 and T2. In general, in both T1 and T2, the lower the points of approach-withdrawal, and the higher the points of response intensity, the more the number of vocabulary.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infants`` communicative language and temperament on their vocabulary, in both T1 and T2, conventional gestures had the greatest effects on receptive language. In T1, conventional gestures had the greatest effects on expressive language, while in T2, representational gestures had the greatest effects on expressive language.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