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33.153.133
3.133.153.133
close menu
}
KCI 우수
데릭 저먼의 정원에 대한 시공간적(時空間的) 해석
A Study on the Spatiotemporal Interpretation of Derek Jarman`s Garden
윈쟈옌 ( Jia Yan Yun ) , 조경진 ( Kyung Jin Zoh )
UCI I410-ECN-0102-2016-520-00077061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본고는 정원 공간에 내재된 시간의 다원성에 대해 역대 시공간 이론을 다루면서 정원 공간에 적합한 시공간 이론구축을 시도하였다. 구축된 이론을 바탕으로 문헌 분석을 통해 데릭 저먼의 정원을 대상으로 정원 공간의 객관적인시간과 주관적인 시간, 이 두 가지에 초점을 두어 정원 공간의 내밀성을 분석하였다. 정원 공간에 속하는 시간을 객관적인 시간과 주관적인 시간으로 구분하였는데, 객관적인 시간은 생태적인 시간,즉 지속성을 갖는 양화된 시간을 말하는 것이고, 주관적인 시간은 인간 주체의 의식에 따라 변하는 시간을 가리킨다. 또한 인간 주체의 감각에 의해 감정화된 시간도 포함한다. 우선 객관적인 시간의 관점에서 저먼의 정원 공간에 대해 해석하였다. 객관적인 시간 안에서 정원의 현재 공간 속에 저먼 개인의 감정에 따라 정원은 하나의 감성 공간으로 변모하면서 공간의 다층적인 속성을 보인다. 따라서 객관적인 시간 속에 존재하는 정원 공간은 결국 객관적이지 않고 인간 주체의 능동적인 감수에 따라 변모한다. 다음으로 주관적인 시간의 관점에서 저먼의 정원 공간을 고찰하였다. 저먼의 추억 속에잠긴 정원 공간과 미래의 허상 속에서 연출되는 정원 공간은 저먼의 상상이나 자각에 따라 풍부한 의미를 내포한 공간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주관적인 시간 속에서 정원 공간은 저먼의 의식에 따라 변모한다. 이상 연구를 통해 시간이 객관적인가주관적인가의 여부에 관계없이 정원 공간은 물리적인 공간의 존재를 넘어서 인간주체의 의식이나 감정에 따라 무한한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정원 공간은 도시 공간과 달리 독특한 내밀성을 지닌 공간이기 때문에 본고는 기존의 정원 연구방법과 다른 시도를 통해 정원 공간의 독특성을 제시하여 보았다.

This study looks at spatiotemporal theories regarding the pluralism of time inherent in garden space, and attempts to establish spatiotemporal theories suitable for garden spaces. Based on the established theories, this study analyzes the intimacy of garden spaces by focusing o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time of garden spaces in Derek Jarman’s garden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sense of time inherent to a garden space was divided into objective and subjective time. The former refers to ecological time that is quantified and has durability, while the latter indicates tim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consciousness of the human subject. It also includes time that is emotionalized by the sense of the human subject. This study first interpreted Jarman’s garden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objective time. The garden transforms itself into a sensitive space according to Jarman’s personal emotions in the current space within objective time, showing the multilayered attributes of space. Therefore, a garden space that exists in objective time is ultimately not objective, and is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active reception of the human subject. Next, this study examined Jarman’s garden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ive time. The garden space lost in Jarman’s memories and the one in his future illusion turn into a space that connotes abundant meaning according to Jarman’s imagination or perception. Therefore, in subjective time, garden space is transformed according to Jarman’s consciousness. This study verified that garden space, regardless of whether time is objective or subjective, can create infinite space according to the consciousness or emotions of the human subject beyond the existence of physical space. Since garden space has a unique intimacy unlike urban space, this study presented the uniqueness of garden space with an approach that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on gardens.

Ⅰ. 서론
Ⅱ. 정원의 시공간에 대한 시론(試論)
Ⅲ. 저먼의 정원에 대한 시공간적 해석
Ⅳ. 결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