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1
18.97.14.81
close menu
Candidate
기독교적 리더십 배양을 위한 현황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ivation of Christian Leadership -An Analytical Assessment
조재국 ( Jai Kook Cho ) , 박정세 , 박명철 , 한인철 , 정종훈 , 이대성
대학과 선교 vol. 18 109-150(42pages)
UCI I410-ECN-0102-2016-230-000769527

이 논문의 목적은 섬김의 리더십을 소개, 분석하면서, 더 나아가 21세기 사회의 기독교적 리더십에 대한 모델로 섬김의 리더십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2008년 연세대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된 본 논문에서는 각 문항의 응답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chi-square방식이 사용되었으며, 이를 근거로 저자들은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간의, 그리고 남성과 여성간의 리더십에 대한 견해의 차이를 도출하고 있다. 설문에서는 다음의 네 가지 영역에 대한 조사와 분석이 행해졌다: 1) 일반 리더십; 2) 기독교적 리더십; 3) 리더십 프로그램들; 4) 섬김의 리더십. 설문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참가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책임감과 통솔력을 일반적인 리더들이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 꼽고 있었다. 이에비하여 기독교인 학생들은 봉사와 영적 지도력을 지도자가 갖추어야할 필수 요소로 들고 있다. 기독교적 리더십에 대한 정의에 있어서, 학생들은 신앙, 헌신, 이타주의를 기독교 리더들이 지니고 있어야 할자질이라고 응답하고 있다. “섬김의 리더십”의 정의에 있어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를 겸손한 태도로 다른 사람들을 이끄는 것이라고 보고있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밝혀진 사실들 중의 한 가지는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리더십 훈련에 참여한 일이 한 번도 없었다는 것이었다. 이에 저자들은 리더십 배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자각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불가피함을 지적하면서, 역사상으로 뛰어난 리더들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분석과 연구, 글로벌화된 현대사회에 맞게 그들의 가치를 재적용하고, 더 나아가 이상적 리더의 정의에 대한 재정립을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저자들은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사이의 공통분모를 찾을 것과, 이를 바탕으로 섬김의 리더십을 정립시키고, 다원화되고 다인종적인 사회에 맞게 계속 개발시킬 것을 주창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and explore the servant leadership and to propose it as a model for Christian leadership in the 21st-century society. The article is based on the survey conducted to a group of freshmen of Yonsei University in 2008. The chi-square method is employed in the analysis of the survey from which the writers differentiate views on leadership between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and also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following four aspects are questioned and subsequently analyzed: 1) leadership in general 2) Christian leadership 3) leadership programs 4) servant leadership. According the answers in the survey, responsibility and ability to commend are defined as leadership in general among its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 service and inspiration are viewed as the two essential elements of leadership among the Christian participants. In terms of Christian leadership, faith, commitment, and altruism are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Christian leadership. One finding from the survey is that most of college students have no experience in any kind of leadership training. As for the definition of "servant leadership," most students understand it as leading others with humbleness. In analyzing the answers, the authors recognize the need to develop programs on character building for leaders. This necessitates the in-depth exploration and the redefinition of role models in leadership their life, thought, ideals and the examination on how to adapt their values to the present globalized society. Finally, the authors urge to seek for a common ground between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in the understanding on leadership, on which the servant leadership is to be further developed in the multi-cultural and multi-racial socie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