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9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라 출판된 중학교 체육교과서 경쟁 활동 영역을 이해중심게임수업의 특성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3종의 체육교과서를 대상으로 이해중심게임수업의 주요 특성인 게임분류체계, 전술적 지식과 개념의 사용, 변형게임의 활용 여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경쟁 활동의 구성체계는 ``종목중심교과서``와 ``영역중심교과서``로 나눌 수 있다. 이해중심게임수업의 게임분류체계에 따라 영역을 기준으로 내용 체제를 구성하고 기술하는 방식의 교과서는 B, C, D, E, G, H, I, J 총 8종이며, 전통적인 방식의 종목을 중심으로 내용 체제를 구성하고 기술하는 방식의 교과서는 A, F, K, L, M 총 5종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경쟁 활동에 이해중심게임수업 적용을 위한 전술적 개념이나 지식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는 교과서가 영역형에서 B, D, J교과서이고, 필드형, 네트형에서는 게임의 전술적 개념이나 지식을 전혀 다루지 않았다. 셋째, 이해중심게임수업 적용을 위한 변형게임을 제시하고 있는 체육교과서는 13종 중 5종이었다. 그 중 3종의 교과서는 경기 방법과 규칙들만을 소개하고 있고, 2종의 교과서는 변형게임의 방법 및 규칙에 더하여 학생들이 변형게임의 ``왜``하고 변형게임을 통해 ``무엇을`` 학습하기를 기대하는지 제시하고 있다. 이 결과는 향후 경쟁 활동 영역 교과서 구성 체계 및 집필의 방향을 새롭게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mpetitive activity areas of 13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published by the 2009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is purpose, we used a content analysis metho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was verified that 13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The number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which structured and described contents based on types of games was 8, while that of textbooks with sport-type based content structure and description was 5. Second, the results showed 3 textbooks out of the 13 textbooks in area-typed competitiveness adressed some strategic knowledge whereas field - typed or net - typed textbooks did not adressed strategic knowledge at all. Third, this study was able to classify textbooks into textbooks suggesting transformed games and textbooks not suggesting transformed games. The results reveled that, 5 textbooks out of the 13 textbooks suggested transformed games, 2 textbooks out of these 5 suggested the purposes of transformed games, whereas the other 3 textbooks described game methods only. These results are believed to indicate that the competitive sec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afford understanding-centric game class only by formative level while most do not reflect practical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