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4
18.97.14.84
close menu
『영지요선(嶺誌要選)』과"창원"관련 기록에 대하여
Remarks on Its Witness Related to Changwon and Yeongjiyoseon(嶺誌要選)
김정대 ( Jung Dae Kim )
가라문화 vol. 27 3-50(48pages)
UCI I410-ECN-0102-2016-910-000768412

『영지요선』은 1876년에 최석봉(崔錫鳳)이 편찬한, 영남 71개 군 읍 지역의 인문 지리서이다. 현재 전하지 않는『영남여지(嶺南輿誌)』 15권을 저본으로 하여 2권으로 요약해 놓은 것이다. 『영지요선』에는 여러 판본이 있어 이용자들에게 적지 않은 혼란을 주어 왔다. 이 논문은 여러 판본을 비교하여 그 성격을 분명하게 밝히는 것을 으뜸 목적으로 하고, 각 판본에 기록된 ‘창원’ 조항을 비교함으로써 지리서에 반영된 창원 지역의 변화 과정을 정리하는 것을 버금 목적으로 한다. 『영지요선』의 판본으로는 필사본, 목판본, 석인본(石印本)의 세 종류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필사본은 최석봉 생존 당시의 원본(규장각본, 고려대본 등)과 1896년~1914년에 필사된 것으로 크게 나뉜다. 목판본은 1931년 증보 장판각기(藏板閣記)가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한 판본이고, 그 뒤에 여기에 다시 증보를 한목판본도 존재하고 있다. 현재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것은 1931년 목판본이다. 1944년 간기가 있는 석인본은 단국대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는 한 종류만 확인되어 상대적으로 그 중요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창원 지역 기록과 관련하여 필자가 눈여겨본 부분은 어떤 내용이 어떻게 증보되었는가 하는 점과 정병산(精兵山)과 무학산(舞鶴山)이 『영지요선』 어느 판본에 어떻게 실려 있는가 하는 점이었다. 목판본에는 산천 인물 항 등이 증보되고, 특히 향안(鄕案) 등이 첨부된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었다. 그 동안 다수의 연구자들이 원본인 필사본을 보지 못하고 증보판인 목판본을 원본인 것으로 착각한 사례가 적지 않았다. 이 기회에 필자는 정병산과 무학산이 원본에는 실려 있지 않고 증보판에 처음으로 등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원본에 이 산 이름이 실려 있지 않다고 하여 두 산이 일제 때 일본인들에 의한 작명이라고 단정할수는 없다는 사실도 분명히 해 두었다.

Yeongjiyoseon is a human geographical book concerning 71 guns and eups in Yeongnam,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edited by Seokbong Choi (崔錫鳳) in 1876. It is an abridged form in 2 volumes, based on 15 volumes of Yeongnamyeoji(嶺南輿誌). It has often made readers a little confused because it has various versions. In this context, this paper has a primary purpose to elucidate their characteristics with the comparison of those versions, and a secondary purpose to clean up the changed aspects of Changwon area reflected in the above geographical book through the comparison of records on Changwon written in each version. It has been revealed that it has 3 kind of versions, that of manuscript, of woodblock, and of stone seal. The manuscript version is divided into two, an original one made in his living period, and later ones made around 1896~1914. Among the woodblock versions the one with the record on its revised edition in 1931 is the most important, and there remain double-revised editions in later times. What most people use is the one made in 1931. As the stone seal version with an imprint in 1944 is found in a single edition which is reserved in the library of Dankuk University, so it is considered relatively less important. What the author takes note concerning its remarks on Changwon area is what’s the content of its revisions and how its revisions were made, and which version contains Jeongbyeongsan Mountain (精兵山) and Muhaksan Mountain (舞鶴山) and how they were described. What’s the most contrastive difference is that mountains and streams, persons, and especially the list of powerful family were revised in the woodblock version. It is unfortunately that most of researchers have failed to investigate the manuscript version, and falsely took its revised woodblock version for the original one. In this paper the author has ascertained that Jeongbyeongsan Mountain (精兵山) and Muhaksan Mountain (舞鶴山) were not registered in the original text, but in the revised text for the first time. However, it does not follow that the two mountains were named by the Japanese people in the imperial perio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