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의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는 제품을 신뢰감있게 소비자들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전달하는 방법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경제발달의 흐름에 따른 전달 방법의 변화를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제품광고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기업들의 성과가 신뢰도를 판단하는 준거가 되었다. 해방 이후 허약한 경제상황 때문에 소비자들이 국산에 대한 신뢰도가 낮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선진국의 기술과 원료를 사용했다는 것이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1970년대 이후 우리 경제가 도약기에 접어들면서 수출성과가 중요한 근거로 자리 잡았고, 이후에는 경제력 향상에 따라 다양한 분야 및 관점에서 세계적인 인정을 받는 기업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성과는 광고에 반영되었고,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제품을 올바르게 선택하는 기준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시대적 환경의 변화가 통시적으로 어떻게 광고에 반영되는지를 파악하는 하나의 방법론을 개발할 수 있었다는 것이 중요한 의미라고 말할 수 있다.
One of the important features of advertising is to deliver informations of product truthfully to the consumers. The way to deliver can be varied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In this paper, I grasp the changes of the way to deliver according to the stream of economic development. In Japanese colonial era, advertisings depend on the performances of Japanese companies to make confidence on product. In the era of 1950s~1960s, advertisings relied on the reputations of the developed conturies to deliver the confident information of product to consumers. Since 1970s, Korea’s economic condition has improved and exports are increased. So, in advertising, export performances are important basis to explain the product to consumers. Since 1990s, Korea has grown into a major economic country of the world and many Korean companies has received global recognition in various fields. This achievement has been reflected in advertising, consumers now have the basis to select the product correctly. The important meaning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ology which can grasp how the contemporary environmental chage is reflected to advertising diachron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