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2014년 신어 가운데 축약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줄임말을 대상으로 그 구조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신어란 새로운 개념이나 사물을 표현하거나 기존의 말을 새로운 느낌으로 표현하기 위해 기존과 형태는 같지만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거나, 새롭게 만들어진 어휘와 구를 말한다. 이에 근거해서 조사된 2014년 신어는 모두 335개이다. 이 가운데 줄임말은 44개로 전체 신어의 17.89%를 차지하는데 이 연구에서 그 목록을 정리하였다. 신어의 줄임말은 모두 명사이고 전문영역이 아니라 일반영역의 어휘이다. 줄임말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줄어들기 전의 원어 어종을 살피고, 음운의 축약에 의해 생성된 줄임말과 구나 문장의 음절 축약에 의해 생성된 줄임말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1994년부터 국립국어원에서 조사 보고한 신어 자료집에서 줄임말을 선별하고 그 구조를 분석하여 현대국어 단어 형성법을 연구하는 데 기초로 삼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structure of shortened expressions created through abbreviations among neologisms of the year 2014. Neologisms refer to words or phrases that are newly made or which have the same form as existing concepts but which possess new meaning, used to express new concepts or objects or to express existing concepts with new feeling. Upon this, there were a total of 335 neologisms found for the year 2014. Of these, there were 44 shortened expressions, accounting for 17.89% of the total number of neologisms and this study has organized that list. All shortened neologism expressions were nouns and were vocabulary in general areas and not specialized area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se shortened expressions, their word types in their original languages were observed and structure analysis was conducted on shortened expressions created through phonological abbreviations and shortened expressions created through syllable abbreviations of phrases of words. This study selected words from the neologism data book surveyed and repor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since 1994 and analyzed their structures and in the future, it can be used as grounds for researching modern Korean word 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