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4
18.97.14.84
close menu
Candidate
사회과학연구 제28집 9호 : 재무지표와 계층적,비계층적 클러스터 기법을 활용한 PR 기업의 분류 및 경영현황 연구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28, No.9 : A Study to Cluster and Analyze Korean PR Companies Utilizing Financial Metrics and Hierarchical/Non-Hierarchical Clustering Technique
홍문기 ( Moon Ki Hong )
UCI I410-ECN-0102-2016-300-000775760

본 연구에서는 국내 PR회사 중 재무지표를 공개하거나 재무분석과 관련된 최소한의 자료가 공개된 국내 PR 업체를 대상으로 자산, 부채, 자본, 매출액, 영업이익 등을 분석해 PR기업에 대한 산업적 가치 평가를 시도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PR 기업의 신용평가를 위해 활용되는 기초 자료를 통해 PR 기업의 경영현황과 재무구조 등을 파악한 뒤 국내 기업들을 군집분석해 국내 PR 기업 중 선도 집단을 파악했다. 본 연구는 한국신용평가정보 (NICE)에서 제공하는 재무지표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PR 기업의 경영현황을 매출액?영업이익에 근거해 PR 기업들을 분류했다. 특히 다변량 측정치를 동시에 고려해 유사한 성향을 가진 개체를 모아 군집을 형성함으로써 그 데이터 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군집분석 을 통해 개체 간 유사성을 측정해 가장 유사한 개체끼리 순차적으로 묶어 분류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PR 기업 군집의 병합과정 및 집단 간 거리를 도면을 통해 표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군집 수를 결정했다(최현철, 2007). 재무지표를 바탕으로 국내 PR 기업들 중 선도적 PR 그룹을 파악한 본 연구에서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군집별로 비교하는 변량분석(ANOVA)를 통해 선도적 PR 기업들의 특성을 파악했다. 이는 국내 PR기업의 시장현황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 PR 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current researcher examined multiple financial index factors of Korean PR companies. Analyzing the multiple financial indicators related to assets, debt ratio, total sales, profit ratio, ...etc., this study tried to evaluate the economic value of Korean PR compani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managerial soundness of Korean PR companies were observed based on their total sales, business profits, and debt ratio. Employing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he current researcher observed and identified the group of Korean PR companies which may lead Korean PR industry in the future. Using a method of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hich seeks to build a hierarchy of clusters based on the means of data, this study remarked three different groups of Korean PR companies. Finally, leading Korean PR companies were recognized based on their total sales and business profits with ANOVA test.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some strategic arguments regarding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PR industry were discussed.

1. 서론: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결론 및 함의
7.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